✅ 1. 전송 계층이란?전송 계층(OSI 7계층의 4계층)은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다.바로 아래의 네트워크 계층(IP)이 주소를 따라 어디까지 갈지를 결정한다면,전송 계층은 그 안에서 “어떤 앱이 데이터를 보냈고, 어떻게 보낼지”를 책임진다.📌 쉽게 말하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IP(Internet Protocol)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Routing)를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이 바로 IP(Int
📌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려면 OSI 7계층 모델을 알아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1계층(물리 계층)과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의 하드웨어적 요소와 관련이 깊다1️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라는 점에서 그래프의 형태를 띈다고 할수있다.네트워크 기기 - 노드 랜선 or WIFI - 간선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기들과 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크게 보면 네트워크는 노
트리는 계층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부모-자식 관계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방식.가족 족보 → 조상이 있고, 그 아래로 자식, 손자가 계층적으로 이어짐.회사 조직도 → CEO가 있고, 그 아래로 부서장이 있고, 부서장 아래에 직원들이 있음.폴더
그래프(Graph)는 여러 개의 노드(Node, 정점)들이 연결된 자료구조다.트리가 부모-자식 관계로 연결된 계층적 구조였다면, 그래프는 좀 더 자유로운 연결 구조를 갖고 있다즉, 어떤 데이터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지 표현하는 강력한 자료구조.✅ 그래프란?그래프는 노
트리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며, 루트 노드(Root Node)에서 시작해 여러 개의 자식 노드(Child Node)로 분기된다.계층적 구조: 부모-자식 관계를 가짐.사이클 없음: 트리는 비순환 그래프(Direct
파일 시스템은 운영체제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파일과 디렉터리 형태로 관리하는 체계다.• 데이터가 무질서하게 저장되면 찾기 힘들고 관리도 어려움• 파일 시스템이 이름, 경로, 속성 등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손상 방지, 빠른 접근성, 데이터 보안까지 가능
논리 주소(Logical Address)CPU가 생성한 주소로 가상주소 라고도 불린다. 프로세스는 메모리 할당 시 실제 물리주소를 직접 알지 못한다.이 논리 주소는 CPU 내부의 레지스터에서 생성된다.물리주소(Physical Address)실제 RAM에서 데이터가 저장
CPU 스케줄링이란?CPU 스케줄링은 운영체제가 CPU를 여러 프로세스에 어떻게 할당할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다수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때, CPU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 할당이 중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통해 응답 시간,
JS 엔진은 큐를 가지고있다. JS 동작원리 중 스택을 실행 하기 위해 큐를 사용한다.(Callback Queue)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함. 사용 예로는 티켓예매 사이트를 예로 들수있다티켓을 예매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예매 버튼을 클릭한 사람에게 판매할수있는..? 선입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세 가지 기둥은 스코프와 클로저, 프로토타입, 그리고 타입과 타입 강제 변환이다.이 개념들을 제대로 이해하면 코드의 작동 방식을 훨씬 깊이 이해할 수 있다.스코프(Scope)스코프는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양동이 = 스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는 상황은 흔히 발생한다. 이때 데이터의 일관성과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기화라는 개념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문제점인 교착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정의: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스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의 개념• 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이다.• 스레드(Thread):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흐름으로, 여러 스레드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주요 역할프로세스 생성과
배열은 순서가 있는 데이터 저장소이다.각 요소는 인덱스(index) 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JavaScript에서 배열은 동적 배열로 구현되어 있으며, 크기가 자동으로 조정된다.배열은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쉽게
클로저는 “내부 함수가 외부 함수의 변수를 기억하는 현상”이다.함수 안에서 만든 내부 함수가, 자신을 감싸는 함수의 변수를 기억하는 것왜 클로저가 중요할까?✔ 상태 유지: count 값이 초기화되지 않고 계속 유지됨✔ 데이터 은닉: count는 outer() 바깥에서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핵심 개념인 이터레이션과 관련 기술들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font color="이터레이션은 데이터를 한 덩어리씩 순회하며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데이터 전체를 한 번에 다루기보다, 한 요소씩 차례대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다.크게 커널(Kernel) 과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운영체제의 큰 그림과 핵심 개념들을 공부해보자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사이
📌 Number.EPSILON (앱실론) 심도 있게 이해하기Number.EPSILON이란?Number.EPSILON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부동소수점 차이값을 나타내는 상수다.즉, 두 개의 숫자가 같다고 간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차이를 의미한다.
자바스크립트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빌트인, Built-in) 데이터 타입이 있다.이 데이터 타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원시 타입(Primitive Type) → 값 자체를 저장하는 타입✅ 참조 타입(Reference Type) → 객체(Object), 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