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로 여러버전의 우분투를 설치하는건 위 사진처럼 딸깍딸깍으로 쉬이 할 수 있지만
같은 버전의 우분투를 여러개 설치하는건 참 사람 열받게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같은 버전의 우분투를 여러개 설치하는 이유라고 한다면...
WSL-우분투-ROS 일때 많이 문제가 발생한다 볼 수 있다.
위 사진처럼 ROS, ROS2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특히 Ubuntu 20.04버전이
Ubuntu 20.04 - ROS Noetic 버전
Ubuntu 20.04 - ROS2 Humble 버전
이렇게 필요한 경우가 있다.
물론 Docker을 잘 다룬다면 위와 같은 문제는 좀 희석되겠지만
어쩌겠는가... 올드맨은 신 문물에 취약한것을...
아무튼 Docker는 나에게는 키오스크 장승같은 녀석이니
WSL-Ubuntu로 최대한 온몸비틀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사용처는 다르나 같은 버전인 우분투를 1개 클린하게 설치를 진행하자
wsl --install -d Ubuntu-[여러개 설치할 버전명]
필자의 경우
Ubuntu 20.04 - ROS Noetic 버전
Ubuntu 20.04 - ROS2 Humble 버전
이렇게 적어도 2개 이상은 20.04를 설치하고자 한다.
설치'만' 완료한 상황이면 위 사진처럼
아주 순정상태의 Ubuntu버전을 압축해놓자
wsl --export Ubuntu-[위에서 수행한 순정상태 버전] [백업할 파일 이름].tar
그냥 손쉽게 백업파일을 만든다고 생각하면된다.
이때 백업파일은 권장으 *.tar
이다 뭐..아무거나 상관없긴 하지만 리눅스 권장 압축파일로 압축을 해두자
이제 백업한 압축파일을 언팩 + 설치하는 과정으로
같은 버전이지만 사용처가 다른 우분투를 여러개 설치해보자
wsl --export Ubuntu-[파생버전명] [파생버전을 저장할 폴더(경로)] [백업할 파일 경로].tar
첨부한 명령어처럼 백업파일을 언팩&설치를 수행할 때 버전이름을 임의로 설정하면
파생된 우분투 버전을 쉬이 설치할 수 있다.
순정버전의 경우 Ubuntu 순정버전
이라고 인증달린 앱 아이콘이 나오기에 딸깍 하고 클릭하면 쉬이 실행이 가능하나
파생버전은 앱 아이콘이 없다.
따라서 아래의 명령어로 PowerShell에서 명령어로 실행해야 한다
wsl -d Ubuntu-[파생버전명]
그리고 실행된 결과물을 봐도 만족스럽지 않은게
1) root계정으로 실행됨
2) 초기 위치도 마음에 들지 않음(뭔가 순정이랑 다름)
이 2가지를 조정해야 한다.
위 사진처럼 파생버전의 root계정 사용자계정으로 자동로그인 과정을 바꾸려면
먼저 wsl 설정파일을 조정해야 한다.
# 먼저 파생버전 우분투 실행
wsl -d Ubuntu-[파생버전]
이후 nano편집기를 활요하여 wsl.conf
파일을 조정한다
sudo nano /etc/wsl.conf
#나노 편집기에서 아래 항목을 추가 기입
[user]
default=[처음 순정상태에서 기입한 유저명]
나노 편집기에서 조정을 완료했으면
ctrl
+ O
(수정사항 저장)
Enter
(수정사항 저장 확정)
ctrl
+ x
(nano편집기 종료)
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후
exit #파생버전 우분투 로그아웃
# wsl 종료
wsl --shtudown
를 수행해준다.
여기까지 하면 다음에 실행할 때 root계정이 아닌 처음 설정한 계정으로 로그인된다.
1.3.1 까지 진행했으면 우분투 실행시 사용자계정으로 자동로그인은 되지만
아직 만족스럽지 않다.
폴더도 사용자계정의 폴더로 이동해야 의미가 있다.
위 사진처럼 .bashrc
에 처음 실행위치를 지정해준다
# .bashrc를 nano편집기로 실행
sudo nano ~/.bashrc
# 맨 아래줄에 아래 명령어 추가
cd /home/[사용자계정 폴더명]
나노 편집기에서 조정을 완료했으면
ctrl
+ O
(수정사항 저장)
Enter
(수정사항 저장 확정)
ctrl
+ x
(nano편집기 종료)
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그아웃 wsl 종료 순으로 진행한다
exit #파생버전 우분투 로그아웃
# wsl 종료
wsl --shtudown
즐거운 코딩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