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이해한 join함수는 리스트의 값들을 합쳐서 문자열로 만들어 주는 함수입니다.좀 더 어렵게 얘기를 한다면 join함수는 리스트안의 값들은 설정한 구분자(separator)로 구분하여 문자열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join함수는 크개 두 가지 형태로 표현할 수

저번 반복문 게시글을 쓰면서 새로 배운 기능인 enumerate를 정리해보려합니다. Enumerate enumerate는 순서가 있는 자료형(list,set,tuple,dics,str) 즉 interable을 입력받으면, 인덱스와 값을 함께 반환합니다. 기본적인 형

반복문이란 같은 작업을 반복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반복문입니다.예를 들어 "Hello World"를 5번 반복적으로 출력하고 싶다면 간단히 print를 5번 연속으로 사용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100번 1000번 혹은 무한하게 반복 작업하고 싶을 때

이번 게시글에서는 python의 map함수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map함수의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map함수는 최소 두개(함수, 반복가능한 자료형)의 매개변수를 받습니다.map함수는 리스트와 같은 iterable의 각 요소에 함수를 적용한 값들을

이번 게시물에서는 제가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자주 등장하고 저에겐 생소했던 iterable,iterator와 generater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합니다. 1. Container Container란 영어 그대로 무엇을 담은 것을 나타냅니다. 물건을 담아 운송하는 컨테이

파이썬 내장함수인 sort()와 sorted()을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