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

심주흔·2022년 8월 22일
0
post-thumbnail

Rest vs Websocket

Re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Request를 주기적으로 요청하고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

  • 위 그림에선 아무개의 컴퓨터가 새로고침을 해야만 Hello 값을 받을 수 있음.

Websocket

: 서버와 크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연결된 TCP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TCP소켓과 같이 연결지향 양방향 전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 위 그림에선 아무개가 새로고침을 하지 않아도 즉시 Hello 값을 받을 수 있다.

Firebase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부분들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플랫폼

특징

  • Document 형식의 Database로 빠르고 간편하다.(MongoDB, NoSQL)
    관계형데이터베이스(MySQL, 오라클)
  • RTSP(Real Time Stream Protocol) 방식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새로고침을 하지 않았지만 Time Database에 데이터가 쌓여있는 모습
    이미지로는 확인이 불가하지만

Firebase 설치

Firebase사이트로 이동

회원가입이후 프로젝트 생성

Firebase를 VSC에 연결

VSC에 Firebase 설치

npm install firebase

이후 firebase.js 파일을 만들고 위에서 복사한 코드로 연결을 시켜준다!!

profile
이봐... 해보기는 했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