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 Queue

Taeseon Kim·2021년 4월 14일
0
post-thumbnail

오늘의 새로운 스프린트!

추상 자료 구조의 기본적인 구조!
후입선출의 Stack, 선입선출의 Queue에 대해 알아보겠다.

Stack

데이터가 들어가는 선형 자료형(linear)이다. 무슨말일까.. 하고 찾아보니 직선적인 구조라고 한다. 후입선출의 구조로, 프링글스 통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내가 좋아하는 프링글스 갈릑맛은 녹색 원통에 과자가 겹겹이 쌓여 있다.

갈릭이 아니라 사워크림&어니언이었다. 아무튼,,

만약 공장이 아니라 사람이 프링글스를 하나하나 만든다고 생각한다면,
정성스레 만든 과자 한겹 한겹을 아래부터 쭉쭉 채울 것이다.
..아마 공장에서도 아래부터 한겹 한겹 채울 것이다.

let 프링글스통 = [];
let 과자1 = '감자와 소금과 갖가지 조미료가 짜게 어우러진 감자칩';
let 과자2 = '감자와 소금과 갖가지 조미료가 짜게 어우러진 감자칩';
let 과자3 = '감자와 소금과 갖가지 조미료가 짜게 어우러진 감자칩';
let 과자4 = '감자와 소금과 갖가지 조미료가 짜게 어우러진 감자칩';
.
.
.

프링글스통.push(과자1);//push메서드는 배열의 맨 뒤에 요소를 추가하고, 선언된 변수가 있다면 그에 추가한 후 배열의 길이를 할당한다.
프링글스통.push(과자2);
프링글스통.push(과자3);
프링글스통.push(과자4);
프링글스통.push(과자5);
프링글스통.push(과자6);
.
.
.
프링글스통.push(과자50);
console.log(프링글스통);//[과자1,과자2,과자3,...,과자50]

이런식으로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먹을땐 어떨까..?
물론 뚜껑에 뭉텅이를 꺼내 먹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교양인이다.
고급지게 하나씩 꺼내 먹는다고 생각했을 때, 맨 위의 과자부터 먹는다.

프링글스통.pop();//과자50 //pop메서드는 배열 맨 뒤의 요소를 제거하고, 선언된 변수가 있다면 그에 할당한다.
프링글스통.pop();//과자49
프링글스통.pop();//과자48
.
.
.

이렇게 먹을 것이다. 이 것이 Stack의 구조를 구체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tack은 서로 연관 관계가 있는 작업들을 저장하는 데에 주로 쓰인다. 브라우저의 뒤로가기, 앞으로 가기 버튼도 Stack구조형을 썼다고 볼 수 있다.

Queue

Queue도 선형 자료형으로, 선입 선출의 구조다.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간다는,, 자료 구조다.

아무튼 이것도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는 하루에 세끼를 먹는다.
그리고,,, 차례로 배출한다.

이를 코드로 구현해보자.

class (){
  constructor(){
    this.arr = [];
  }
  enqueue(meal){
  	this.arr.push(meal);
  }
  dequeue(){
  	return this.arr.shift()
  }
}

let 몸뚱아리 = new ();

몸뚱아리.enqueue('아침밥');
몸뚱아리.enqueue('점심밥');
몸뚱아리.enqueue('저녁밥');

몸뚱아리.dequeue();//'아침밥'

이런 느낌으로 구현이 된다.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자료 구조형으로, 주로 쓰이는 방법은 Queue(몸뚱아리)안에 순서대로 처리할 작업(배출)을 임시로 저장해 두는 버퍼('buffer', 소화중,,)로 사용된다.

Stack,Queue는 데이터의 추상적 형태와 그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정해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료형을 추상자료형(ADT, Abstract Data Typ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추상자료형은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 구현자와 사용자를 구분해주는데, 중요한 로직을 은닉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 하여 내부 구현을 알지 않아도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
공부하여 이해가 된 것만 정리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