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도출된 기능을 구조화 해야 할까



- 제품 내의 정보를 조직화하고 구조화하는 것
- 주로 사용자들이 그들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내는데 초점을 맞춤

👉 처음에는 IA를 바로 만드는 것이 어려움
때문에 먼저 유사 및 경쟁 제품의 IA를 벤치마킹하고
유저 플로우(User Flow) 를 만든 뒤 IA를 1차로 만들고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효율적

⭐️IA는 도서관학이라는(도서관 입구에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한 권의 책을 찾아가는)방법에서 유래
분류와 계층을 만들기 위해 먼저
사이트맵 (Sitemap)을 작성 👉 제품의 대표 페이지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것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구조, 레이블, 네비게이션, 검색이 어떻게 정보 구조를 이루는지 빠르게 파악 가능
상하구조 사이트맵

좌우구조 사이트맵

👉 상하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함
⭐️ 플로우 차트와 사이트맵의 차이점
플로우 차트는 특정 사용자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을 보여줌
사이트맵은 구조적인 부분만을 다룸
EX)

참조 번호와 레이블
- 와이어프레임 및 비주얼 디자인 시 사이트맵의 어떤 부분인지 확인 가능
- 개발자가 비주얼 디자인을 받았을 때 사이트맵의 어떤 부분인지 확인 가능
- QC(품질관리) 부서에서 품질 체크가 용이하고 관련 문제를 기입하기 편함
- 컨텐츠 운영 시 사이트맵의 어떤 부분에 들어가는 컨텐츠인지 확인 가능

검색 엔진 최적화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고려
- 검색 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구성해서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
- 사이트맵은 이후 이 SEO를 고려해야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