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타입 변환
에러가 발생하는 타입 변환
사칙연산
제곱 및 나머지 연산
문자열 연결(+) 및 다양한 포맷 방법(f-string, .format()).
대표적인 포맷 방법들
기타 포맷 방법들
문자열에서 사용 가능한 함수들
count()
: 괄호 안의 문자열이 몇 개 있는지 세어서 반환
find()
: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위치(인덱스)를 찾아주는 함수
split()
: 문자열 분리
대소문자 변환
upper()
: 대문자로 변환lower()
: 소문자로 변환strip()
: 문자열의 앞뒤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
replace()
: 문자열을 변경하는 함수
리스트의 생성 및 다양한 연산(인덱싱, 슬라이싱).
다양한 리스트의 생성
인덱싱
슬라이싱
변수명[시작 인덱스 : 끝 인덱스(x) : 간격]
시작 인덱스
: 포함됨, 생략가능 (= 시작 인덱스가 자동으로 적용됨(Default))끝 인덱스
: 불포함, 생략가능 (= 데이터 타입의 길이 자동으로 적용됨(Default))간격
: Default(= 1)append()와 extend()의 차이점.
리스트 정렬 및 인덱스 찾기.
sort()
: 정렬 함수리스트에서 사용되는 함수들
index()
: 특정 요소의 인덱스를 반환. (문자열에서의 find()와 유사)
count()
: 특정 요소의 개수 반환. (문자열에서의 count()와 동일)
튜플의 불변성 및 생성 시 주의점.
튜플 간의 연산과 길이 확인.
딕셔너리의 생성 방법 및 key-value 접근 방법.
get() 메서드를 활용하여 값 반환.
딕셔너리에 key, value 추가
keys(), values(), items() 메서드의 사용법.
keys()
:
values()
:
itmes()
: 키 - 값 쌍을 튜플로 반환
del
: 삭제하고 싶은 key를 사용하여 삭제
집합의 특징
중복 제거 및 집합 연산(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intersection()
, union()
, difference()
메서드 활용.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True, False 및 자료형과의 변환 원리 (bool() 함수).
문자열을 불리언으로
숫자를 불리언으로
and, or, not 연산자의 활용.
AND : 둘다 True(1) 이어야 함.
OR : 둘 중 하나라도 True(1) 이어야 함.
for 루프와 집합형 데이터(iterable) 활용.
구구단 출력 및 딕셔너리 순회.
반복문으로 딕셔너리 순회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get()
사용break, continue, pass의 역할.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 사용.
for-else 구조와 활용 사례.
isinstance(변수, 타입)
-> 변수가 해당 타입인지 확인enumerate()
: 리스트의 원소를 순서대로 받아오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