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리눅스 학습의 연결 고리

xhaktm·2024년 12월 22일
0

리눅스와의 학습 연결고리

데이터 분석과 AI 개발을 공부하면서 점점 더 클라우드 서버와 대규모 데이터 처리 환경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로컬에서 작업을 하다 보니 리소스가 부족한 상황이 자주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학습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커져갔다. 그러던 중 Python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그리고 모델 배포 작업들이 대부분 리눅스 환경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부분이 특히 흥미로웠다.

마침 글또 10기를 하며 도서 후원을 받을 기회가 생겼고, 책 리스트를 살펴보다 '리눅스 입문'이라는 책에 눈길이 갔다. 최근 네트워크관리사 자격증을 준비하고 있던 터라, 현재의 학습 목표와도 잘 맞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어 주저 없이 선택했다.

단순히 책을 가볍게 읽는 데 그치지 않고, 문제를 풀며 실습 위주로 활용하고 싶었다. 그래서 길벗에서 운영하는 코딩 자율학습단에 가입해 도서 커리큘럼을 따라 학습을 시작했다. 하나씩 따라가다 보니 리눅스를 활용한 서버 관리와 데이터 분석 환경 설정에 대한 기초가 조금씩 쌓여 가는 느낌이었다.

AI와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지만, 리눅스를 배우면서 데이터 수집, 처리, 분석, 그리고 결과 배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학습단 11기에 지원했는데, 신청 기간이 이미 지나 있었음에도 공식 학습일 이전이라 그런지 신청 접수를 받아주었다. 그리고 꼭 학습단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아래 카페에서 커리큘럼과 다른 사람들의 학습 일지를 참고할 수 있어, 기수에 맞춰 학습단에 들어가지 않아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다.

https://cafe.naver.com/gilbutitbook/9280

독자의 1초를 아껴주는 정성을 만나보세요.

페이지를 열면 첫장에 위와 같은 문구가 있다.
이처럼 이 책은 독자를 배려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마음에 들었다. 특히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리눅스의 활용 분야와 학습 이유를 먼저 설명해주어, 책을 읽는 동기를 자연스럽게 높여준 점이 인상적이었다.

리눅스는 어디에 쓰일까

  1. 서버

  2. 클라우드 컴퓨팅 (내가 리눅스를 공부하는 이유기도 하다.)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약 70% 이상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AWS, Azure 등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벡엔드에 주로 리눅스를 사용한다. 또 가상 머신,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에도 리눅스를 기본 운영체제로 사용한다.

  3. 임베디드 시스템

  4. 모바일 기기

리눅스가 내게 왜 필요할까

컴퓨터 관련 직군에서 리눅스는 필수적이다. 비록 내가 시스템 관리자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도 아니고 AI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은 Python에서 쉽게 제공되지만, 서버 운영, 고성능 연산, 배포 관리를 위해서는 결국 리눅스 환경을 익힐 필요성이 있었다.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만날 '나'

마지막 페이지에서 만나는 '나'는 리눅스 책의 실습 내용을 모두 정리한 후, 마지막 포스팅에서 표현해보려 한다.

profile
"Done is better than Perfec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