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 Hypertext Transfer Markup Language ) 용도 : 문서의 구조를 설정 History 현재는 HTML5 를 사용 작성 도구 Visual Studio Code 를 사용 * 플러그인 설치 live server
문법 (이미지) gif 비손실 압축 8비트(2^8 = 256) 색상만 지원 --> 사진(2^8 * 2^8 * 2^8 = 2^24) 이 아닌 그림이미지를 주로 사용한다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로 묶을 수 있음 jpg(jpeg) 압축률
문법 (input type) --> form 태그 : 사용자와 프로그램 사이에 소통할 ㅅ ㅜ있는 태그 (가장 많이 사용!) type="text"일때 maxlength : 입력할 수 있는 최대 글자수 disabled : 비활성화 readonly : dis
CSS ( Cascading Style Sheet ) 주석방법 /* 주석내용 */ 개요 버전 : css 1.x --> css 2.x --> css 3.x --> css 4.x 목적 : 디자인(HTML 등)의 효과적인 관리, 웹 표준화 (크로스 브
특징 스크립트 언어 --> `` 객체 기반 언어 (= 객체 지향 언어) 객체 : 복잡한 데이터를 간단하게 묶어줄 수 있는 형태 ( 포장지 개념 ) 사용방법 * CSS가 HTML 을 도와주는 방법과 같다 ! ( inline 방식, int
Function ⭐⭐⭐ 반복되는 코드를 별도로 빼서 재사용 가능 함수를 구현할땐 단일 기능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사용에 의미있음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재사용성 (유지보수) 생산성 > 함수 작성 방법 - 선언식 함수의 이름을 부른다 = 호출한다
연산자 * 연산자는 우선순위가 중요 ! --> () 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연산 > 산술 연산자 --> ++, -- 등등 a++ 는 a = a + 1 과 같음 ! ex) --> 15 15 출력 ( 증가시킨 값을 넘겨주고 그 다음을 출력 ) ex) --
DOM --> javascript 가 HTML에 접근하도록 도와주는 것 > 특징 HTML 문서를 객체로 표현한 것 DOM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DOM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명령어 (함수) DO
클래스 > 객체 생성 방법 객체명 = {키:값, ...} --> obj 라는 보따리에 title, author, setValue 라는 변수가 만들어짐 > 표준 내장 객체 Array length concat(), join(), reverse(), s
모듈 js 파일들끼리 데이터를 내보내기와 가져오기를 하는 방법 export, import `` 정규 표현식 > 정의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조합을 찾기 위한 패턴 > 용도 문자 검색 (search) 문자 대체 (replace) 문자 추출 (extract) >
입력한 값이 a, b, c 이면 '정답'이라고 출력하고 그 외에 나머지 값은 '오답' 이라고 출력 예제 > 동일한 결과를 가지는 코드 1 > 동일한 결과를 가지는 코드 2 성적표 예제 > 위의 코드를 switch 문으로 바꾸기 과일이 사과일때 1000원, 바나
1부터 10까지의 합계 > 위의 예제를 for문으로 변경 2의 10승을 구하기 Document // 2의 10승을 구하기 cnt = 0; sum1 = 1; while(cnt > 위의 예제를 d
fnPopup() 함수 alert(), prompt(), confirm()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 알림창을 띄우고 사용자 입력을 받고 확인/취소 여부를 확인합니다. > fnEval1() 함수 eval()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로 된 수식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
html, css, javascript 테스트할 사이트 https://jsbin.com/?html,output vue 접속하기 node 설치후 C:\Users\trsj1>npm install -g @vue/cli vue 버전 확인 후에, 아래와 같은 과정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