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계층은 다음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계층을 분리함으로 인해 각 계층은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역할이 분리되면서 만약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긴다면 어떤 계층에 문제가 생겼는지 바로 알 수 있게 됩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네트워크 통신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바로 알 수 있고 이는 곧 유지보수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지니게 됩니다.
OSI 7계층에는 1계층부터 7계층이 있는데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계층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각 계층에 특징과 역할에 대해 깊게 파고들면 내용이 너무 방대해지기 때문에 핵심적인 부분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리계층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계층
비트는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단위로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 즉 On/Off의 전기 신호 상태로 이루어져 단지 데이터만 전달하고 데이터의 종류나 오류는 확인하지 않습니다.
이 계층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가 있습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Point - to - Point) - 전송 단위(Frame)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시 데이터 전송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오류를 감지하면 재전송 하는 방법으로 처리합니다.
또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MAC주소를 가지고 통신하게 됩니다.
이 계층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스위치, 브릿지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전송 데이터를 목적지 까지 경로를 찾아 전송하는 계층 - 전송 단위(Packet)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 기능을 맡고 있는 계층으로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계층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가 있습니다.
전송 계층은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계층 (End - to - End) - 전송 단위(TCP는 Segment, UDP는 Datagram)
전송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포트 번호를 사용합니다.
또한,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이전에 포스팅 했던 TCP와 UDP가 있습니다.
https://velog.io/@tyjk8997/TCP%EC%99%80-UDP
세션 계층은 네트워크의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
세션 계층은 세션을 만들고 유지하며, 세션 종료, 전송 중단시 복구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 하고 오류 복구를 진행합니다.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이 이루어지는 계층
표현 계층은 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 동작이 이루어지는 계층입니다.
응용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
대표적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HTTP, FTP 등의 프로토콜이 응용 계층에 속합니다.
https://velog.io/@dyllis/OSI-7%EA%B3%84%EC%B8%B5-%EC%A0%95%EB%A6%AC
https://velog.io/@cgotjh/%EB%84%A4%ED%8A%B8%EC%9B%8C%ED%81%AC-OSI-7-%EA%B3%84%EC%B8%B5-OSI-7-LAYER-%EA%B8%B0%EB%B3%B8-%EA%B0%9C%EB%85%90-%EA%B0%81-%EA%B3%84%EC%B8%B5-%EC%84%A4%EB%AA%85#%EB%AC%BC%EB%A6%AC%EA%B3%84%EC%B8%B5physical-layer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pst8627&logNo=221670903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