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onnectionless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Response)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But, 실제로는 데이터 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정보가 유지되지 않으면, 매번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다시 하거나,
상품을 선택했는데 구매 페이지에서 선택한 상품의 정보가 없거나 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수 있다.
→ 따라서, Stateful 경우를 대처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은 크게 상태 정보의 저장 위치이다.
쿠키는 '클라이언트(=로컬PC)'에 저장하고, 세션은 '서버' 에 저장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 통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한 번 통신이 되면 끊어진다.
따라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계속 인증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웹페이지의 로딩을 느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런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쿠키와 세션이다.
정리하면, 클라이언트와 정보 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이다.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 | 쿠키(Cookie) | 세션(Session) |
---|---|---|
저장 위치 | 브라우저 | 웹 서버 |
사용하는 자원(리소스) | 클라이언트 리소스 | 웹 서버 리소스 |
서버부담 | X | O |
속도 | 빠름 | 느림 |
보안 | 안좋음 | 좋음 |
서버 다중화 | 서버 다중화에 유리 | 서버 다중화에 불리 |
세션이 서버 다중화에 불리하다는 말을 쉽게 하자면 다음과 같다.
서버 다중화 방식인 Scale-out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면 서버는 여러개로 나뉘어 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로드밸런싱이 진행되게 된다. (로드 밸런싱에 대해서 이전에 포스팅 함
https://velog.io/@tyjk8997/%EB%A1%9C%EB%93%9C-%EB%B0%B8%EB%9F%B0%EC%84%9C%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서버가 여러개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브라우저가 첫번째 요청을 세션1에 저장했는데 두번째 요청을 세션2에 할려면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가 없어 로그아웃이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서버간의 세션 동기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쿠키의 경우에는 쿠키가 브라우저 쪽에 저장되기 때문에 따로 세션 동기화할 필요도 없을 뿐더러 서버의 부담도 없게 된다. 이때 쿠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취약점은 따로 암호화만 진행해주면 되기 때문에 세션이 서버 다중화에 불리한 것이다.
https://hahahoho5915.tistory.com/32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