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orking Directory (작업영역)
2) Repository (저장소)
3) Index (Staging Area)
4) Stash
1) --cached : Index에 추가된 파일을 staging area에서 제외(working directory의 파일은 유지)
2) -f, --force : 삭제하려는 파일의 내용이 브랜치 끝 부분에서의 내용과 다를 경우 강제 삭제
3) --ignore-unmatch : 삭제하려는 파일이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 무시
3.1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3.2 git commit -a : 자동으로 add를 진행한 후 커밋
3.3 git commit -am "커밋 메세지" : a, m의 옵션을 합친 형태.
3.4 git commit -v : 커밋 메세지에 diff의 내용 포함
3.5 git commit --amend : 최신 커밋 메세지를 수정하여 커밋 할 수 있다.(신규 커밋 메세지 추가 되지 않음)
출처: https://goddaehee.tistory.com/217 [갓대희의 작은공간]
깃허브에 레포지토리를 우선 하나 만든다.
readme, gitignore, copyright는 터치하지 말래서 만지지 않음
git init
내 movie-app폴더 안에 .git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깃을 초기화 한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ehrtjfhr100/movie-app-2021
오른쪽 url을 원격 저장소로 추가한다.
git add .
워킹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으로 이동시킨다.(.이 모든 파일을 의미)
git commit -m "first commit"
first commit이라는 메세지와 함께 모든 파일을 Git의 저장소에 커밋한다.
git push origin master
커밋된 파일들을 origin 원격저장소(깃허브)의 마스터 브랜치로 보낸다.
이전에는 리드미, 저작권등으로 main 브랜치가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해 그 브랜치로 파일들이 보내졌는데, 이번에는 옵션체크를 안해서 기존의 디폴트 브랜치가 없던 상태라 디폴트 브랜치 하나가 생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