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리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습니다. 흩어진 종이 조각을 붙여 소수를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내려 합니다.
각 종이 조각에 적힌 숫자가 적힌 문자열 numbers가 주어졌을 때, 종이 조각으로 만들 수 있는 소수가 몇 개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numbers | return |
---|---|
"17" | 3 |
"011" | 2 |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possible (numbers):
possible = set()
n_list = list(numbers)
for i in range(1, len(n_list)+1):
temp = list(permutations(n_list, i))
temp = [int("".join(x)) for x in temp]
for t in temp:
possible.add(t)
return list(possible)
주어진 numbers
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숫자를 만드는 method이다.
list(string)
은 string을 char별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ex) list("12345") == ["1","2","3",4","5"]
permutation(n_list, i)
는 n_list에서 i개의 요소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순열을 나타낸다. 각 경우의 수는 ["1","2","3"]
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join
과 int
를 통해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다.
set
에 추가하여 중복을 막는다
ex) "011"과 "11"은 같은 숫자이다
# 2. 소수 판별
def isprime(num):
if num in [0,1]:
return False
thres = int(num**0.5)+1
for i in range(2,thres):
if num%i == 0:
return False
else:
return True
0은 나눌 수 없고, 1은 소수가 아니므로 0과 1이 들어오면 바로 False
를 반환한다.
2부터 n1/2까지의 수로 n을 나눠, 만약 나누어 떨어진다면 소수가 아니므로 False
를 반환한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면 소수므로 True
를 반환한다.
def solution(numbers):
answer = 0
p = possible(numbers)
for pp in p:
if isprime(pp):
answer += 1
return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