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에서 앱을 클릭하면 어떻게 켜지는 걸까?
IOS App에서 가장 많이 보는 ViewController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접하는 NavigationController와 TabBarController에 대해 알아보자. 어떤식으로 Transition이 일어나는 걸까? 구조는 어떠할끼?
앱에서 터치가 일어났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떤 방식으로 이벤트가 전달되는 걸까? Hit Test와 Responder Chain을 이해하면 그 답을 알 수 있다.
iOS 화면 업데이트는 어떻게 되는 걸까? draw, layoutIfNeeded, setNeedsLayout 등. 이해가 안가는 것들이 너무 많았다. 오늘 한번 부셔보자!
iOS 앱개발에서 화면을 담당한다면 피할 수 없는 autolayout! 공식 문서를 읽어보며 정리해보자. 간략하게!
tableView를 다루다보면 셀의 크기를 정하는 일이 상당히 귀찮을 때가 있다. 어떻게 하면 동적인 cell을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
stack view는 autolayout을 적용하지 않고도 layout을 잡을 수 있는 신기한 친구다. 한번 알아보자.
Accessibility 자체만 해도 상당히 방대한 개념이다. 이번에는 iOS 개발자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Accessibility인 Voice Over를 UIKit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WWDC 2019 키노트를 확인해보며 알짜 정보를 쏙쏙 뽑아보자.
불투명한 뷰는 어떻게 만드는거지? 그게 바로 이거였다.
회전과 관련된 코드를 보다보니, compact, regular와 같은 용어들이 보였다. Dark Mode와도 관련이 있다던데, UITraitCollection은 무엇일까?
입문하지 얼마 되지 않은 나는 여전히 기본 Transition만 사용하고 있다. 나도 화려한 UX를 만들어보고 싶다! 그 전에, 그 시작이 되는 UIPresentationController부터 알아보자.
아무 생각없이 코딩하다가(...) 의존성 주입을 그냥 property 주입으로 하고 있었다. 당연히 Storyboard면 안되지 않았었나? 하는 무지성 코드질을 하다 지적받고 떠올랐다.. 과거의 내가 이미 그짓거리를 공부했다는 것을!
Target / Action은 사용자 interaction을 처리하는 주요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문서를 읽으며 알아보자.
code를 보다가 unwind segue라는 녀석을 보게 되었다. 처음 보는 친구라 정리해보려고 한다.
TableView 리팩토링 하다가 레거시를 다르게 바꿀 수 있을까하면서 알아보았다. 근데 굉장히 좋다..?
맨날 헷갈리는 이것. 오늘은 뽑아버리겠다.
이미지와 글자가 있는 Button을 만들다가, String안에 image를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