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Four Fundamental Subspace (feat.dimension)

Vaughan·2022년 8월 16일
0

선형대수학

목록 보기
12/14
post-thumbnail

Four Fundamental Subspace

m×nm\times n matrix AA에 대하여,

Column space of A

모든 nn차원 벡터 x\bold x에 대해 AxA\bold x 들의 집합 공간. (=행렬 AA의 column의 linear combination)

  • x\bold x 의 차원 : m×nm\times n matrix AA의 오른쪽에 곱해지므로 nn차원 벡터

  • AxA \bold xm××1=m×1m\times \not n \cdot \not n \times 1 = m \times 1 이므로 mm차원의 subspace

C(A)={Ax xRn} , a subspace of RmC(A) = \{A \bold x|\ ∀ \bold x ∈ \mathbb R^ n\}\text{ , a subspace of } \mathbb R^m

Row space of A

=Column space of ATA^T

모든 mm차원 벡터 x\bold x에 대해 ATxA^T\bold x 들의 집합 공간. (=행렬 ATA^T의 column, 즉 AA의 row의 linear combination)

  • x\bold x 의 차원 : n×mn\times m matrix ATA^T의 오른쪽에 곱해지므로 mm차원 벡터

  • ATxA^T \bold xn××1=n×1n\times \not m \cdot \not m \times 1 = n \times 1 이므로 nn차원의 subspace

C(AT)={ATx xRm} , a subspace of RnC(A^T) = \{A^T \bold x|\ ∀ \bold x ∈ \mathbb R^m\}\text{ , a subspace of } \mathbb R^n

Nullspace of A

AA에 곱한 결과가 0이 되도록하는 nn차원 벡터 x\bold x들의 집합 공간.

  • 벡터 x\bold xm×nm\times n matrix AA의 오른쪽에 곱해지므로 nn차원의 subspace
N(A)={x Ax=0} , a subspace of RnN(A) = \{\bold x|\ A \bold x = \bold 0\}\text{ , a subspace of } \mathbb R^n

Left nullspace of A

=Null space of ATA^T

ATA^T에 곱한 결과가 0이 되도록하는 mm차원 벡터 x\bold x들의 집합 공간.

  • Left?
    • 행렬 AA왼쪽에 곱한 결과가 00이 되는 벡터 y\bold y를 가정한다.
      yA=0\bold y A =\bold 0
    • 기존의 방정식 형태에 양변을 전치하여, yT=x\bold y^T = \bold x로 생각하여 left nullspace를 표현할 수 있다.
      (yA)T=0ATyT=0(\bold y A)^T = \bold 0 \rightarrow A^T\bold y ^T = \bold 0
  • 벡터 x\bold xn×mn\times m matrix ATA^T의 오른쪽에 곱해지므로 mm차원의 subspace
    (↔  벡터 y\bold ym×nm\times n matrix AA의 왼쪽에 곱해지므로 mm차원의 subspace)
N(AT)={x ATx=0} , a subspace of RmN(A^T) = \{\bold x|\ A^T \bold x = \bold 0\}\text{ , a subspace of } \mathbb R^m

Demension of Four Fundamential Subspace

Dimension of C(A)

C(A)C(A)의 basis는 AA의 pivot column의 갯수와 같다.

→ pivot column의 수는 pivot의 수와 동일하고, pivot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은 rank이다.

→ 따라서 차원은 r(A)r(A)이다.

dim(C(A))=r(A)\dim(C(A)) = r(A)

Dimension of C(A^T)

C(AT)C(A^T)의 basis는 ATA^T의 pivot column의 갯수와 같다.

→ pivot column의 수는 pivot의 수와 동일하고, pivot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은 rank이다.

r(AT)=r(A)r(A^T) = r(A)이므로 차원은 r(A)r(A)이다.

dim(C(AT))=r(A)\dim(C(A^T)) = r(A)

Dimension of N(A)

Ax=0A\bold x = \bold 0의 special solution은

  • 서로 선형독립관계이다.
  • N(A)N(A)를 span한다.

→ special solution이 N(A)N(A)의 basis이며, basis안의 벡터의 개수(=차원)는 special solution의 개수와 동일하다.

→ special solution의 개수는 free column의 수와 동일하므로 전체 column에서 pivot column의 수를 빼준다.

→ 따라서 차원은 nr(A)n- r(A)이다.

dim(N(A))=nr(A)\dim(N(A)) = n-r(A)

Dimension of N(A^T)

앞서 영공간의 차원을 구하는 과정을 똑같이 적용한다. (이때 r(A)==r(AT)r(A) == r(A^T)이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가능)

dim(N(AT))=mr(AT) =mr(A)\dim(N(A^T)) = m - r(A^T)\\\ \\ =m-r(A)

For Fundamential Subspace의 dimension 연산

4개의 subspace와 그 dimension에 대하여 아래 공식이 항상 성립한다. (AAm×nm\times n 행렬)

  • Rn\mathbb R^n에서
    dim(C(AT))+dim(N(A))=n\dim(C(A^T)) + \dim(N(A)) = n
  • Rm\mathbb R^m에서
dim(C(A))+dim(N(AT))=m\dim(C(A)) + \dim(N(A^T)) = m

→ 각 dimension이 어떤 값을 갖는지 생각해보면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Elimination 전후 row space 💫

행렬 AA에 elimination을 진행한 결과로 나타나는 행렬을 UU라고 할 때, AAUU동일한 row space를 갖는다.

  • elimination 과정은 기존 행렬의 row space안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다.
    → 기존 행들의 linear combination이 바로 Gauss elimination를 의미한다.
  • linear combination은 해당 공간안에서만 일어나는 닫힌 연산이기 때문에, 기존의 row space로 표현할 수 없는 새로운 벡터가 Elimination이후에 나타날 수 없다.
  • 단, column space는 변화한다.
profile
우주의 아름다움도 다양한 지식을 접하며 스스로의 생각이 짜여나갈 때 불현듯 나를 덮쳐오리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