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할때 Git을 통하여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
그래서 Git을 설치해보려고 한다.
Git은 그냥 홈페이지를 통하여 설치를 진행하였다.
Git을 검색한 뒤 위에 보이는것처럼 해당 페이지를 들어간다.
위처럼 페이지가 나올텐데,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Download (version) for (OS)
를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하자
참고 : Mac같은경우에는 기본적으로 Git이 다운이 되어있을수도 있어git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해서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자
Git을 다운받으면 이제 터미널에서 Git에 관련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인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폴더의 최상단으로 들어가git init
명명어를 실행하여
워킹디렉토리로 지정하자
이제 본이이 현재 버전에 현재 업데이트된 코드를 저장하려면 스테이징 에어리어에 저장 후 커밋을 해야해서 난
git add .
명령어를 사용했다.
그랬더니...
add이후에 status를 확인했더니
...
엄청 많은것들이 추가 되었다.
알고보니 프로젝트에 있던node_modules
폴더도 같이 추가 된 것이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gitignore
파일을 생성후 해당 모듈폴더를 등록했다.
그런 다음git reset
명령어로 스테이징 에어리어에서 파일들을 제거 한 뒤
다시git add .
을 했더니
필요한 파일들만 잘 추가 되었다.
node_modules를 추가하지 않는 이유는npm install
을 이용해package.json
에 있는데 의존성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받을 수 있기에 제외하고 저장소에 올린다.
깃의 저장본들을 원격 저장소에 저장하면 좀더 안전하다.
그것으로 깃허브를 이용해보겠다.
우선 깃허브 홈페이지로 들어가 로그인한다.
로그인 한다음new
버튼을 이용해 레파지토리를 생성한다.
레파지토리를 생성했다면 이제 깃허브 저장소와 나의 로컬저장소를 안전하게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방법으로SSH
를 이용하겠다.
ssh-keygen -t ed25519 -C "your_email@example.com"
위의 명령어를 통해 나의 SSH를 생성한다.
그 다음 SSH를 SSH Agent에 넣어주기 위해 켜야한다.
eval "$(ssh-agent -s)"
해당 명령어를 통하여 백그라운드에 Agent를 킬 수 있다.
ssh-add -K ~/.ssh/id
명령어를 통해서 Agent에 Private 키를 추가해준뒤
깃허브와 SSH 퍼블릭키를 연결해준다.
방법 : 문서
그 후 remote와 연결 후 push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