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키오스크 만들기를 제출했다. 근데 예외처리나 다른 곳에서 문제가 생긴 것인지 장바구니에서 원하는 값을 빼는 처리가 안 되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해당 부분을 주석처리하고 제출했는데 너무 아쉬웠고, 세션을 들어보니 내 코드의 미흡한 부분이 많이 보였다. 세션이
나는 어떤 히스토리를 가지고 Spring 트랙에 참여하게 되었나요?정보보호를 전공하고 개발자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개발능력의 한계와 경험 부족을 느꼈고, 이번 Spring 과정에서 개발과 협업 경험을 늘리기 위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본 코스 수료 후, 어
내가 내일배움캠프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개발자 취업 준비를 하면서 프로젝트 경험을 늘리고 기초 공부를 탄탄히 하기 위해서 신청하게 되었습니다.내가 이해한 개발자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조금 더 효율적인 로직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그 프로그램의 구
오늘도 나는 천방지축 어리둥절 빙글빙글 알고리즘을 푸는 중이다. 그러나, 슬슬 내 머리로 한계가 오고 있다는 걸 느끼고 있다. 가끔 내 머리가 돌인가 생각해요 아무튼, 오늘은 그리하여 실패한 알고리즘의 모음이랄까? 그런 것이다. 일단 내가 공부하고 있는 스파르타 코딩
요 며칠 과제를 하느라 데굴데굴데굴 굴러가고 있다. 시간은 없고, 조바심은 나고 에러도 폭발하고 있다. 내일은 과제 제출일인데 아직도 이렇게 에러와의 사투를 벌이는 중이다.현재 일정관리 앱에서 일정 생성, 일정 전체 조회, 일정 일부 조회, 일정 일부 삭제까지 가능한
이번 과제는 정말 완전 실패해버렸다. 과제에는 필수구현부가 있고 도전 구현부가 있는데 나는 호기롭게 도전까지 한다고 해 놓고 필수 구현부조차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출했다. 강의가 많고, 공부량이 부족했다는 걸 체감하는 사건이었다. 내일부터는 새로운 과제에 대
처음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사람들이 제일 어려워 하는 부분 중 하나가 도대체 왜? 왜? 왜? 코드가 이렇게 돌아가는 지 사람의 머리로는 이해가 불가한다는 점일 것이다.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가 컴퓨터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 봐야 하기 때문이다. 근데 0 아니면
1. 자바의 Collection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자바에서는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조금 더 프로젝트 코드에 알맞는 컬렉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능과 유지보수에 영향이 많이 가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고도화를 하려면 Collection 또한 역할에 맞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Collection 프레임워크 자체는 List나, ...
테스트 코드를 짜면서 자꾸만 시간에 쫓겨서 코드만 짜고 내부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다는 위기감이 생겨서 공부를 면밀히 다시 하기로 했다. 일단 내가 아는 거, 단통시인...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인수테스트여기서 나는 각기 테스트의 사용 목적과 차이도 너
이제 우리의 서비스는 V4를 목전에 두고 있다. 나는 그 중에 V3에서 미처 구현하지 못 했던 엘라스틱 서치 적용도 해보고, 레디스를 이용한 분산 락 동시성 제어와 레디스를 이용한 검색 기능 개선도 해 볼 생각이다. 그래서 일단 내가 Redis를 모르기 때문에 먼저
얼마 전, 검색 기능 구현을 하다가 GET 메서드에 RequsetBody를 사용하게 되었었는데,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피드백을 들었다.왜 그런걸까? 하며 리팩토링 진행하면서 가볍게 안되는 이유를 정리해보기로 했다.HTTP GET 요청은 서버에서 리소스를 조회하기 위한
내가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Jmeter 요약보고서 사용법스레드 그룹 아래에 Http Request 아래에 헤더매니저(토큰주입용), 결괏값 비교를 위한 Response Assertion, 뷰 리퀘스트 트리 (성공 여부 알려줌), 요약보고서 등 필요한 요소들을 추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