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이런 파일 뿐만 아니라 css, 이미지, 파일 또는 해당 id의 사용자 정보를 가져다 주는 식으로 요청 할 수도 있다.)
(rest api : 주소를 정하는 규칙
주소 규칙이 일정할 경우 해킹에 취약해 질 수 있다.)
(put 은 전체 수정, patch는 부분수정 의 느낌이다.)
(RESTful 한 서버 : restapi 방식으로 서버 주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서버 ,
실제로 잘 지켜지는 서버는 흔치 않다.)
(코드 구조는 위와 같다.)
(위 처럼 요청이 오면 응답을 하는데, 보통 30초를 넘지 않는다.
/ 는 localhost : 8082 뒤에 생략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는 디폴트 페이지가 된다.)
(해당 주소와 포트 입력을 한후 엔터를 치면 get 으로 / 를 보내는 경우이다. 위 결과가 나온다.)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패널을 통해 살펴본 localhost로의 요청이 보인다. get 방식이며, 200은 성공 응답 표시이다.)
(위 처럼 200 이 되면 content type을 지정해 줬는데 아래 처럼 확인 가능하다.)
(그럼 헤더는 뭐야? : 헤더는 데이터 들에 대한 데이터 이다.
가져온 데이터에 대한 시간, 상태, 정보 등등을 가진다.)
(get 요청을 보내고 / url을 보낸것에 대한 부가적인 데이터 정보이다. 또한 브라우저도 거부할 권한이 있다. 서버가 엉뚱한 것을 보낸 경우, 위의 accept에 맞는 것만 받겠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