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드스테이츠에서 전송한 메일로 AWS IAM 정보를 전달받아 AWS 링크에서 로그인을 하였다.
$ bash
$ cd ~
개발환경 구축 전 터미널을 bash로 변경해 진행했다.
$ sudo apt update
// 패키지의 정보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은 가상 PC 한 대를 임대하는 것이다. EC2 인스턴스에 처음 접속 시 서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개발 환경을 구축해야한다.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3/install.sh | bash
// nvm 설치 명령어
$ . ~/ ,nvm.nvm.sh
$ nvm --version
// nvm 버전 확인
$ nvm install node
// node.js 설치
$ node --version
// node 버전 확인
$ sudo apt install npm
// npm 설치 명령어
위 과정이 끝나면 node.js 기반 서버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개발 환경 구축이 끝난다.
ssh-keygen
// ssh 키 생성 명령어
cat ~/.ssh/id_rsa.pub
// 공개키 복사 명령어
key 생성이 끝나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해 git clone을 진행한다. clone 후 정상적으로 clone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에 ls 명령어를 입력한다.
cd fe-sprint-practice-deploy/server/
// server 폴더로 이동해 npm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해 필요한 모듈을 다운로드 한다.
설치가 끝나면 npm start명령어로 서버를 실행한다. 관리자 권한으로 시작할 경우 sudo npm start를 입력한다.
퍼블릭 IP 주소로 접속한다.
EC2 서버를 확인해 GET 요청이 찍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