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이 보이는 선형대수학] 4. 행렬식

Kyeongmin·2024년 1월 28일
0

수학

목록 보기
19/30

본 글은 "응용이 보이는 선형대수학"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행렬식

1) 행렬식의 정의와 계산

  1. 행렬식이란?
    • 정의 : 정방행렬 A\textbf{A} 실수값으로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역행렬이 존재하면 0, 그렇지 않으면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det(A\textbf{A}) 또는 A|\textbf{A}|로 표기한다.
    • 행렬식의 활용
      ① 가역행렬 여부의 판단 및 역행렬 계산
      ② 선형변환에서의 넓이 또는 부피의 변화율 계산
      ③ 연립선형방정식 해 계산
      ④ 고윳값과 고유벡터의 계산
  2. 1 X 1 ~ 3 X 3 행렬의 행렬식
    A1=[a],A2=[abcd],A3=[a11a12a13a21a22a23a31a32a33]\textbf{A}_1\,=\, \begin{bmatrix} a \end{bmatrix} \quad,\quad \textbf{A}_2\,=\, \begin{bmatrix} a & b \\ c & d \\ \end{bmatrix} \quad,\quad \textbf{A}_3\,=\, \begin{bmatrix} a_{11} & a_{12} & a_{13} \\ a_{21} & a_{22} & a_{23} \\ a_{31} & a_{32} & a_{33} \\ \end{bmatrix}
    • 1 X 1 행렬 : det(A1)=adet(\,A_1\,) = a
    • 2 X 2 행렬 : det(A2)=adbcdet(\,A_2\,) = ad-bc
    • 3 X 3 행렬 : det(A3)=a11a22a33+a12a23a31+a13a21a32a13a22a31a12a21a33a11a23a32det(\,A_3\,) =\\ a_{11}a_{22}a_{33}+a_{12}a_{23}a_{31}+a_{13}a_{21}a_{32}-a_{13}a_{22}a_{31}-a_{12}a_{21}a_{33}-a_{11}a_{23}a_{32}
      ※ 위와 같은 수식을 통해 3 X 3 행렬의 행렬식을 구하는 방법을 Sarus 방법이라고 한다.

2) 행렬식의 일반화

  1. 소행렬식
    • 정의 : 행렬 A\textbf{A}에서 성분 aija_{ij}가 있는 ii행과 jj열을 제거한 행렬의 행렬식을 Aij\textbf{A}_{ij}로 표현하고,
      이를 aija_{ij}의 소행렬식이라고 한다.
    • 예시
      A11=det[a22a23a32a33]A12=det[a21a23a31a33]\textbf{A}_{11} = det \begin{bmatrix} a_{22} & a_{23} \\ a_{32} & a_{33} \\ \end{bmatrix} \quad\quad \textbf{A}_{12} = det \begin{bmatrix} a_{21} & a_{23} \\ a_{31} & a_{33} \\ \end{bmatrix}
    • 소행렬식을 이용한 3 X 3 행렬의 행렬식 표현
      • 행을 이용한 표현 : det(A3)=a11A11a12A12+a13A13det(\textbf{A}_3) \,=\, a_{11}\textbf{A}_{11} - a_{12}\textbf{A}_{12} + a_{13}\textbf{A}_{13}
      • 열을 이용한 표현 : det(A3)=a11A11a21A21+a31A31det(\textbf{A}_3) \,=\, a_{11}\textbf{A}_{11} - a_{21}\textbf{A}_{21} + a_{31}\textbf{A}_{31}
  2. 라플라스 전개
    • n×nn \times n 행렬의 행렬식 det(A)det(\textbf{A})
      성분 aija_{ij}와 소행렬식 Aij\textbf{A}_{ij}의 곱에 (1)i+j(-1)^{i+j}을 곱한 값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n×nn \times n 행렬의 행렬식에 대한 라플라스 전개
      • ii행을 기준으로 한 행렬식 : det(A)=k=1n(1)i+kaikAikdet(\textbf{A})=\sum\limits_{k=1}^n(-1)^{i+k}a_{ik}\textbf{A}_{ik}
      • jj열을 기준으로 한 행렬식 : det(A)=k=1n(1)k+jakjAkjdet(\textbf{A})=\sum\limits_{k=1}^n(-1)^{k+j}a_{kj}\textbf{A}_{kj}
  3. 여인수 전개
    • 여인수(cofactor) 정의
      : aija_{ij}의 소행렬식 Aij\textbf{A}_{ij}(1)i+j(-1)^{i+j}을 곱한 것을 aija_{ij} 여인수라고 한다. (Cij\textbf{C}_{ij}로 표기)
      Cij=(1)i+jAij\textbf{C}_{ij} \,=\, (-1)^{i+j}\textbf{A}_{ij}
    • n×nn \times n 행렬의 행렬식에 대한 여인수 전개
      • ii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 : det(A)=j=1naijCijdet(\textbf{A})=\sum\limits_{j=1}^na_{ij}\textbf{C}_{ij}
      • jj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 : det(A)=i=1naijCijdet(\textbf{A})=\sum\limits_{i=1}^na_{ij}\textbf{C}_{ij}

2. 행렬식의 성질

1) 행/열 연산에 대한 행렬식

  • 한 행(또는 열)에 스칼라릅 곱한 행렬의 행렬식
    A=[a11a12a21a22]det(B)=det[a11a12ca21ca22]=cdet(A)\textbf{A} = \begin{b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 \end{bmatrix} \quad\dots\quad det(\textbf{B}) = det \begin{bmatrix} a_{11} & a_{12} \\ ca_{21} & ca_{22} \\ \end{bmatrix} = c\,det(\textbf{A})
  • n차 정방행렬에 스칼라배한 행렬의 행렬식
    det(kA)=det[ka11ka12ka21ka22]=kndet(A)det(k\textbf{A}) = det \begin{bmatrix} ka_{11} & ka_{12} \\ ka_{21} & ka_{22} \\ \end{bmatrix} = k^n\,det(\textbf{A})
  • 한 행(또는 열)에 서로 다른 두 행렬을 더하여 만든 행렬의 행렬식
    A1=[a11a12x21x22]  ,  A2=[a11a12y21y22]det(B)=det[a11a12x21+y21x22+y22]=det(A1)+det(A2)\textbf{A}_1 = \begin{bmatrix} a_{11} & a_{12} \\ x_{21} & x_{22} \\ \end{bmatrix} \;,\; \textbf{A}_2 = \begin{bmatrix} a_{11} & a_{12} \\ y_{21} & y_{22} \\ \end{bmatrix} \quad\dots\quad det(\textbf{B}) = det \begin{bmatrix} a_{11} & a_{12} \\ x_{21}+y_{21} & x_{22}+y_{22} \\ \end{bmatrix} = det(\textbf{A}_1)+det(\textbf{A}_2)
  • 두 행(또는 열)을 서로 교환한 행렬의 행렬식
    A=[a11a12a21a22]det(B)=det[a21a22a11a12]=det(A)\textbf{A} = \begin{b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 \end{bmatrix} \quad\dots\quad det(\textbf{B}) = det \begin{bmatrix} a_{21} & a_{22} \\ a_{11} & a_{12} \\ \end{bmatrix} \,=\, -det(\textbf{A})
  • 중복 행(또는 열)을 갖는 행렬의 행렬식
    det(A)=det[a11a12a11a12]=0det(\textbf{A}) = det \begin{bmatrix} a_{11} & a_{12} \\ a_{11} & a_{12} \\ \end{bmatrix} \,=\, 0
  • 행(또는 열)의 스칼라배를 다른 행(또는 열)에 더한 행렬식
    A=[a1a2a3]det(B)=det[a1a2+ka3a3]=det(A)\textbf{A} = \begin{bmatrix} a_{1} & a_{2} & a_{3} \\ \end{bmatrix} \quad\dots\quad det(\textbf{B}) = det \begin{bmatrix} a_{1} & a_{2}+ka_{3} & a_{3} \\ \end{bmatrix} \,=\, det(\textbf{A})

2) 특수한 행렬에 대한 행렬식

  • 전치행렬의 행렬식
    : det(A)=det(AT)det(\textbf{A}) \,=\, det(\textbf{A}^T)
  • 단위행렬의 행렬식
    : det(In)=1det(\textbf{I}_n) \,=\, 1
  • 기본행렬의 행렬식
    • 행을 교환하는 기본행렬 E1\textbf{E}_1 : det(E1)=1det(\textbf{E}_1) = -1
    • 한 행을 k(0\ne 0)배하는 기본행렬 E2\textbf{E}_2 : det(E2)=kdet(\textbf{E}_2) = k
    • 어떤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하는 기본행렬 E3\textbf{E}_3 : det(E3)=1det(\textbf{E}_3) = 1
  • 기본행렬을 곱한 행렬의 행렬식
    : det(EA)=det(E)det(A)det(\textbf{EA}) \,=\, det(\textbf{E})\,det(\textbf{A})
  • 한 행(또는 열)의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의 행렬식
    : det[a1a20]=0det\begin{bmatrix} a_{1} & a_{2} & \textbf{0} \\ \end{bmatrix} \,=\, 0
  • 행렬 곱의 행렬식
    : det(AB)=det(A)det(B)det(\textbf{AB}) \,=\, det(\textbf{A})\,det(\textbf{B})
  • 삼각행렬과 대각행렬의 행렬식
    : det(A)=det(\textbf{A}) \,=\,주대각 성분의 곱
  • 역행렬의 행렬식
    : det(A1)=1det(A1)det(\textbf{A}^{-1}) \,=\, \frac{1}{det(\textbf{A}^{-1})}

3. 행렬식의 기하학적 의미

  • 평행사변형의 넓이
    : 2차원 행렬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평행사변현의 넓이와 같다.
    adbc=(0,0),(a,c),(b,d),(a+b,c+d)|ad-bc| = (0,0), (a,c), (b,d), (a+b,c+d)\,를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넓이
  • 평행육면체의 부피
    : 3차원 행렬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평행육면체의 부피와 같다.
    aei+bfg+cdhcegbdiafh=(0,0,0),(a,d,g),(b,e,h),(c,f,i),(b+c,e+f,h+i),(a+c,d+f,g+i),(a+b,d+e,g+h),(a+b+c,d+e+g,g+h+i)|aei+bfg+cdh-ceg-bdi-afh| = (0,0,0), (a,d,g), (b,e,h), (c,f,i), (b+c,e+f,h+i), \\(a+c,d+f,g+i), (a+b,d+e,g+h), (a+b+c,d+e+g,g+h+i)\\ 를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육면체의 부피
  • 평면의 방정식
    : 서로 다른 세 점 (x1,y1,z1),(x2,y2,z2),(x3,y3,z3)(x_1, y_1, z_1), (x_2, y_2, z_2), (x_3, y_3, z_3)\,를 지나는
    평면 방정식 ax+by+cz+d=0ax+by+cz+d=0\, 에 대해 아래 행렬식이 성립한다.
    det[xyz1x1y1z11x2y2z21x3y3z31]=0det \begin{bmatrix} x & y & z & 1 \\ x_1 & y_1 & z_1 & 1 \\ x_2 & y_2 & z_2 & 1 \\ x_3 & y_3 & z_3 & 1 \\ \end{bmatrix} \,=\, 0
  • 이차곡선의 방정식
    : 서로 다른 세 점 (x1,y1),(x2,y2),(x3,y3)(x_1, y_1), (x_2, y_2), (x_3, y_3)\,를 지나는
    이차곡선의 방정식 a(x2+y2)+bx+cy+d=0a(x^2+y^2)+bx+cy+d=0\, 에 대해 아래 행렬식이 성립한다.
    det[x2+y2xy1x12+y12x1y11x22+y22x2y21x32+y32x3y31]=0det \begin{bmatrix} x^2 + y^2 & x & y & 1 \\ x^2_1 + y^2_1 & x_1 & y_1 & 1 \\ x^2_2 + y^2_2 & x_2 & y_2 & 1 \\ x^2_3 + y^2_3 & x_3 & y_3 & 1 \\ \end{bmatrix} \,=\, 0

4. 행렬식의 활용

1) 수반행렬

  • 정의
    정방행렬 A\textbf{A}의 여인수를 성분으로 갖는 행렬의 전치행렬을 수반행렬이라 하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adjA=[C11C1nCn1Cnn]T=[C11Cn1C1nCnn]adj\textbf{A} \,=\, \begin{bmatrix} \textbf{C}_{11} & \cdots & \textbf{C}_{1n} \\ \vdots & \cdots & \vdots \\ \textbf{C}_{n1} & \cdots & \textbf{C}_{nn} \\ \end{bmatrix}^T \,=\, \begin{bmatrix} \textbf{C}_{11} & \cdots & \textbf{C}_{n1} \\ \vdots & \cdots & \vdots \\ \textbf{C}_{1n} & \cdots & \textbf{C}_{nn} \\ \end{bmatrix}
  • 행렬과 수반행렬의 곱 : AadjA=AI\textbf{A} \cdot adj\textbf{A} \,=\, |\textbf{A}|\textbf{I}

2) 수반행렬을 이용한 역행렬 계산

  • 수반행렬과 역행렬 : A1=1AadjA\textbf{A}^{-1} \,=\, \frac{1}{|\textbf{A}|} \, adj\textbf{A}
  • 수반행렬의 행렬식 : adjA=An1|adj\textbf{A}| \,=\, |\textbf{A}|^{n-1}
  • 가역행렬과 수반행렬 : adj(AB)=adj(B)adj(A)adj(\textbf{A}\textbf{B}) \,=\, adj(\textbf{B}) \, adj(\textbf{A})

3) 크래머 공식을 이용한 연립선형방정식 계산

  • 크래머 공식
    Ax=b\textbf{A}x \,=\, b에서 A\textbf{A}가 가역행렬이면, xx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Mi\textbf{M}_iAi\textbf{A}_i열을 bb로 바꾼 행렬이다.)
    xi=MiAx_i \,=\, \frac{|\textbf{M}_i|}{|\textbf{A}|}
  • 풀이 예시
    A=[121221123],b=[569]M1=[521621923]  ,  M2=[151261193]  ,  M3=[125226129]x1=M1A,x2=M2A,x3=M3A\textbf{A}= \begin{bmatrix} 1 & 2 & 1 \\ 2 & 2 & 1 \\ 1 & 2 & 3 \\ \end{bmatrix} \,,\, b= \begin{bmatrix} 5 \\ 6 \\ 9 \\ \end{bmatrix} \\\,\\ \textbf{M}_1= \begin{bmatrix} \textbf{5} & 2 & 1 \\ \textbf{6} & 2 & 1 \\ \textbf{9} & 2 & 3 \\ \end{bmatrix} \;,\; \textbf{M}_2= \begin{bmatrix} 1 & \textbf{5} & 1 \\ 2 & \textbf{6} & 1 \\ 1 & \textbf{9} & 3 \\ \end{bmatrix} \;,\; \textbf{M}_3= \begin{bmatrix} 1 & 2 & \textbf{5} \\ 2 & 2 & \textbf{6} \\ 1 & 2 & \textbf{9} \\ \end{bmatrix} \\\,\\ x_1=\frac{|\textbf{M}_1|}{|\textbf{A}|} \quad,\quad x_2=\frac{|\textbf{M}_2|}{|\textbf{A}|} \quad,\quad x_3=\frac{|\textbf{M}_3|}{|\textbf{A}|}

※ 연립선형방정식의 풀이법
① 가우스-조단 소거법
② LU 분해를 이용한 방법
③ 역행렬을 이용한 방법
④ 크래머 공식

profile
개발자가 되고 싶은 공장장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