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응용이 보이는 선형대수학"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행렬식
1) 행렬식의 정의와 계산
- 행렬식이란?
- 정의 : 정방행렬 A 실수값으로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역행렬이 존재하면 0, 그렇지 않으면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det(A) 또는 ∣A∣로 표기한다.
- 행렬식의 활용
① 가역행렬 여부의 판단 및 역행렬 계산
② 선형변환에서의 넓이 또는 부피의 변화율 계산
③ 연립선형방정식 해 계산
④ 고윳값과 고유벡터의 계산
- 1 X 1 ~ 3 X 3 행렬의 행렬식
A1=[a],A2=[acbd],A3=⎣⎢⎡a11a21a31a12a22a32a13a23a33⎦⎥⎤
- 1 X 1 행렬 : det(A1)=a
- 2 X 2 행렬 : det(A2)=ad−bc
- 3 X 3 행렬 : det(A3)=a11a22a33+a12a23a31+a13a21a32−a13a22a31−a12a21a33−a11a23a32
※ 위와 같은 수식을 통해 3 X 3 행렬의 행렬식을 구하는 방법을 Sarus 방법이라고 한다.
2) 행렬식의 일반화
- 소행렬식
- 정의 : 행렬 A에서 성분 aij가 있는 i행과 j열을 제거한 행렬의 행렬식을 Aij로 표현하고,
이를 aij의 소행렬식이라고 한다.
- 예시
A11=det[a22a32a23a33]A12=det[a21a31a23a33]
- 소행렬식을 이용한 3 X 3 행렬의 행렬식 표현
- 행을 이용한 표현 : det(A3)=a11A11−a12A12+a13A13
- 열을 이용한 표현 : det(A3)=a11A11−a21A21+a31A31
- 라플라스 전개
- n×n 행렬의 행렬식 det(A)는
성분 aij와 소행렬식 Aij의 곱에 (−1)i+j을 곱한 값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n×n 행렬의 행렬식에 대한 라플라스 전개
- i행을 기준으로 한 행렬식 : det(A)=k=1∑n(−1)i+kaikAik
- j열을 기준으로 한 행렬식 : det(A)=k=1∑n(−1)k+jakjAkj
- 여인수 전개
- 여인수(cofactor) 정의
: aij의 소행렬식 Aij와 (−1)i+j을 곱한 것을 aij 여인수라고 한다. (Cij로 표기)
Cij=(−1)i+jAij
- n×n 행렬의 행렬식에 대한 여인수 전개
- i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 : det(A)=j=1∑naijCij
- j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 : det(A)=i=1∑naijCij
2. 행렬식의 성질
1) 행/열 연산에 대한 행렬식
- 한 행(또는 열)에 스칼라릅 곱한 행렬의 행렬식
A=[a11a21a12a22]…det(B)=det[a11ca21a12ca22]=cdet(A)
- n차 정방행렬에 스칼라배한 행렬의 행렬식
det(kA)=det[ka11ka21ka12ka22]=kndet(A)
- 한 행(또는 열)에 서로 다른 두 행렬을 더하여 만든 행렬의 행렬식
A1=[a11x21a12x22],A2=[a11y21a12y22]…det(B)=det[a11x21+y21a12x22+y22]=det(A1)+det(A2)
- 두 행(또는 열)을 서로 교환한 행렬의 행렬식
A=[a11a21a12a22]…det(B)=det[a21a11a22a12]=−det(A)
- 중복 행(또는 열)을 갖는 행렬의 행렬식
det(A)=det[a11a11a12a12]=0
- 행(또는 열)의 스칼라배를 다른 행(또는 열)에 더한 행렬식
A=[a1a2a3]…det(B)=det[a1a2+ka3a3]=det(A)
2) 특수한 행렬에 대한 행렬식
- 전치행렬의 행렬식
: det(A)=det(AT)
- 단위행렬의 행렬식
: det(In)=1
- 기본행렬의 행렬식
- 행을 교환하는 기본행렬 E1 : det(E1)=−1
- 한 행을 k(=0)배하는 기본행렬 E2 : det(E2)=k
- 어떤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하는 기본행렬 E3 : det(E3)=1
- 기본행렬을 곱한 행렬의 행렬식
: det(EA)=det(E)det(A)
- 한 행(또는 열)의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의 행렬식
: det[a1a20]=0
- 행렬 곱의 행렬식
: det(AB)=det(A)det(B)
- 삼각행렬과 대각행렬의 행렬식
: det(A)=주대각 성분의 곱
- 역행렬의 행렬식
: det(A−1)=det(A−1)1
3. 행렬식의 기하학적 의미
- 평행사변형의 넓이
: 2차원 행렬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평행사변현의 넓이와 같다.
∣ad−bc∣=(0,0),(a,c),(b,d),(a+b,c+d)를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넓이
- 평행육면체의 부피
: 3차원 행렬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평행육면체의 부피와 같다.
∣aei+bfg+cdh−ceg−bdi−afh∣=(0,0,0),(a,d,g),(b,e,h),(c,f,i),(b+c,e+f,h+i),(a+c,d+f,g+i),(a+b,d+e,g+h),(a+b+c,d+e+g,g+h+i) 를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육면체의 부피
- 평면의 방정식
: 서로 다른 세 점 (x1,y1,z1),(x2,y2,z2),(x3,y3,z3)를 지나는
평면 방정식 ax+by+cz+d=0 에 대해 아래 행렬식이 성립한다.det⎣⎢⎢⎢⎡xx1x2x3yy1y2y3zz1z2z31111⎦⎥⎥⎥⎤=0
- 이차곡선의 방정식
: 서로 다른 세 점 (x1,y1),(x2,y2),(x3,y3)를 지나는
이차곡선의 방정식 a(x2+y2)+bx+cy+d=0 에 대해 아래 행렬식이 성립한다.det⎣⎢⎢⎢⎡x2+y2x12+y12x22+y22x32+y32xx1x2x3yy1y2y31111⎦⎥⎥⎥⎤=0
4. 행렬식의 활용
1) 수반행렬
- 정의
정방행렬 A의 여인수를 성분으로 갖는 행렬의 전치행렬을 수반행렬이라 하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adjA=⎣⎢⎢⎡C11⋮Cn1⋯⋯⋯C1n⋮Cnn⎦⎥⎥⎤T=⎣⎢⎢⎡C11⋮C1n⋯⋯⋯Cn1⋮Cnn⎦⎥⎥⎤
- 행렬과 수반행렬의 곱 : A⋅adjA=∣A∣I
2) 수반행렬을 이용한 역행렬 계산
- 수반행렬과 역행렬 : A−1=∣A∣1adjA
- 수반행렬의 행렬식 : ∣adjA∣=∣A∣n−1
- 가역행렬과 수반행렬 : adj(AB)=adj(B)adj(A)
3) 크래머 공식을 이용한 연립선형방정식 계산
- 크래머 공식
Ax=b에서 A가 가역행렬이면, x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Mi 는 Ai열을 b로 바꾼 행렬이다.)xi=∣A∣∣Mi∣
- 풀이 예시
A=⎣⎢⎡121222113⎦⎥⎤,b=⎣⎢⎡569⎦⎥⎤M1=⎣⎢⎡569222113⎦⎥⎤,M2=⎣⎢⎡121569113⎦⎥⎤,M3=⎣⎢⎡121222569⎦⎥⎤x1=∣A∣∣M1∣,x2=∣A∣∣M2∣,x3=∣A∣∣M3∣
※ 연립선형방정식의 풀이법
① 가우스-조단 소거법
② LU 분해를 이용한 방법
③ 역행렬을 이용한 방법
④ 크래머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