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검색 엔진에서 사용한다.
referrer의 오탈자이지만 스펙으로 굳어졌다.
A->B에서 이동하는 경우 B를 요청할 때 Referer: A
를 포함해서 요청한다.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계 정보 등
어떤 종류의 브라우저에서 장애가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필수 헤더
하나의 서버가 여러 도메인을 처리해야 할 때 호스트 정보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나의 IP 주소에 여러 도메인이 적용되어 있을 때 호스트 정보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요청을 보낸 주소와 받는 주소가 다르면 CORS 에러가 발생한다.
응답 헤더의 Access-Control-Allow-Origin와 관련
“토큰의 종류(e.g. Basic) + 실제 토큰 문자”를 전송
300번대 응답의 결과에 Location 위치로 리다이렉트(자동 이동)한다.
405(Method Not Allowed)에서 응답에 포함
503(Service Unavailable): 서비스가 언제까지 불능인지 알려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