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tier

- 웹서버가 DB에 바로 연결되는 형태
- 트래픽이 많지 않은 경우 자주 사용되는 구조
- 서버가 총 2대이든 20대이든 서버의 역할이 web서버, db서버 두가지이면 2-tier구조
3-tier

- 3-tier는 Web서버-Was서버-db서버를 지칭
- 자원 이용의 효율성 및 장애 극복, 배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을 위해 Web Server와 WAS를 분리한다.
- 각 계층마다 auto-scailing이 가능하다.
3.1 Web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jpeg .css 등)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Web Server에서는 정적 컨텐츠만 처리하도록 기능을 분배하여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예) Apache Server, Nginx
3.2 Was
-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
- WAS를 통해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DB에서 가져와서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그때 그때 결과를 만들어서 제공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 Tomcat
3.3 DB
- 데이터 저장소
예) MySQL, MariaDB
클라우드 상 네트워크
- REGION : ZONE을 모은 것이 REGION
- ZONE : 물리적인 DATA Center(서울, 부산, 도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