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생성하는 것
- 변수의 메모리 공간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바뀌며, 여러 개의 변수가 있을 때 서로 고유의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다
int A = 5;
int B = 10;

- 변수를 지정할 때 반드시 앞에 자료형이 붙는다
자료형이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의 형태를 정해주는 것
char -> 문자형
string -> 문자열
int -> 정수형
float -> 실수형 ( 값뒤에 반드시 f )
외에도 다양한 자료형이 있지만 아직은 이것들로만 공부
- 각각의 자료형마다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자료형의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져 있고, 자료형의 경우 자료형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범위가 결정
🔒 int integer = 100; 에서 '='는 대입연산자를 의미하며, 오른쪽값을 왼쪽에 대입
🔒 Console.WriteLine(___); 에서 writeLine은 자동 줄바꿈이 포함된다 (-> C++에서는 cout)
- 변수에 +,- 부호 붙이기가 가능하다.
🔒 ex)int x = 100; print(-x);
🔒 유니티에서 많이 사용했던 캐릭터 키 입력받고 이동시킬 때 많이 사용했다.
➡ direction은 -1, 0, +1 값float direction = Input.GetAxisRaw("Horizontal"); Vector3 move = new Vector3(direction * speed, 0, 0);
// 변수 선언 & 초기화
char alphabet = 'A';
int integer = 100;
float pi = 3.141592f;
string name = "Star";
// 출력
Console.WriteLine("alphabet 변수의 값: " + alphabet);
Console.WriteLine("integer 변수의 값: "+ integer);
Console.WriteLine("pi 변수의 값: " + pi);
Console.WriteLine("name 변수의 값: " + name);
출력값:
alphabet 변수의 값: A
integer 변수의 값: 100
pi 변수의 값: 3.141592
name 변수의 값: Star
int int;
int 5days;
int count down;
int level_Up; // 가능
// 가능한 경우
int data = 100;
int DATA = 200;
// 불가능한 경우
int data = 10000;
int data = 30000;
2024.11.14.목요일
유니티에서 콘솔창에 출력 시, Debug.Log()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Print()로도 출력할 수 있다.
| 함수 | 설명 |
|---|---|
Debug.Log(...) | 일반 메시지 출력 (흰색) |
Debug.LogWarning(...) | 경고 메시지 출력 (노란색) |
Debug.LogError(...) | 에러 메시지 출력 (빨간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