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생성하는 것

📌 상수(Constant)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는 메모리 공간 리터럴상수/심볼릭상수

📌 여러가지 자료형들

📌 정수의 승격 > * 연산이 일어날 때 컴퓨터는 효율성을 위하여 적절한 자료형으로 형

📌 조건문 > * 어떤 조건이 주어질 때 해당 조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하는 명령문

📌 반복문 : for, while, do while, foreach

📌 함수란?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코드의 집합

메모리 구조 1. 코드 영역 2. 데이터 영역 3. 힙 영역 4. 스택 영역

📌 값 타입 (Value Type)📌 참조 타입 (Reference Type)

📌 클래스란? 사용자 정의 데이터 유형으로 속성과 함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여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집합체

📌 얕은 복사란? 객체를 복사할 때 주소 값을 복사하여 같은 메모리를 가리키게 하는 복사

📌 상속 이란? 상위 클래스의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는 기능

📌 다형성이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객체가 동일한 기능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작업 > * 함수의 오버로딩 > * 함수의 오버라이딩 > * 가상함수

📌 추상화란? 객체를 정의할 때 필요없는 부분을 생략하고 객체의 속성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중점으로 두어 간단하게 설계를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 추상 클래스는 객체로 생성할 수 없고 상속하는 역할로만 사용

관련성 있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다루는 함수를 객체 안에 구현하고, 객체 밖에서 알아야 할 필요가 없는 속성들은 숨기는 것 get & set

업캐스팅 정적바인딩 & 동적바인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