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float A = 1/2;
즉, 결과값은 0으로 정수 연산이 먼저 이루어진 것.
이것이 float타입으로 변환되어 결과값은 0.0f가 된다
-> 그렇기 때문에 연산하는 1과 2중 하나라도 float로 만들어준다면 암묵적 형 변환이 발생하여 실수 연산이 이루어진다
실수 연산
float A = (float)1/2;
- 연산이 일어날 때 컴퓨터는 효율성을 위하여 적절한 자료형으로 형변환을 거친 다음 연산을 진행
- char형이나 short 타입에서는 int로 승격된다
char C = A + B;
여기서는 A와 B는 char형 타입이지만, int형으로 승격한 후 int형 연산을 진행한 뒤 결과값을 C에 넣을때는 char형으로 변환해서 넣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