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력 / 변수 / 할당
1) Hello World - #include cstdio

- 이 구문은 전처리 지시자입니다. 표준입출력을 사용하겠다는 의미로서 프로그램 시작 첫 줄에 꼭 입력해야 하는 구문입니다
2) int main(){ ... }

- 이 구문은 프로그램 시작점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main 이라는 시작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 구문이 없다면 프로그램은 시작되지 않습니다
3) printf(...);

- 큰따옴표 안의 내용을 콘솔로 출력하는 일을 하는 구문입니다. 마지막에 세미콜론( ; )이 있음을 주의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4) 줄바꿈 문자
- 줄바꿈 문자(혹은 개행문자)는 역슬래시와 n 문자를 활용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5) 변수(Variable)

- 변수란 기본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입니다. 변수의 이름짓기 규칙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6) 값의 할당(Assignment)

- 이콜 기호( = )를 활용하면 변수에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7) 주석(Comment)

- 프로그래머가 자신의 코드에 설명문을 달아놓는 것을 주석이라고 합니다. 주석에는 한 줄 주석과 여러 줄 주석이 있습니다

8) 이름 짓기 규칙




9) 이름의 특징


입력 / 함수 / 연산 - 가장 기초
1) 기본 연산의 종류

- C 언어에서 수행 가능한 기본적인 연산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2) 단항 연산자

- 우리가 지금껏 본 연산자는 이항연산자 입니다. 예를 들어 덧셈은 값 두 개를 이용해 새로운 값을 만들어냅니다. 이것을 보고 이항연산자라고 합니다. 단항연산자는 항을 한 개, 즉 하나의 값으로 새로운 값을 만들어 냅니다.
3) 사용자 입력 - scanf( ... );

- scanf는 printf와 비슷하게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구문입니다. 대신 입력을 받고자 하는 변수 앞에 &(앰퍼샌드)를 꼭 붙여줘야 합니다.
4) 함수(Function)

- 함수란 입력을 받아 어떤 값을 만들어내는 동작을 하는 구문을 말합니다. 이 입력이란 사용자로부터 받는 키보드 입력이 아니며 프로그램 내부에서 파라미터로 받는 입력을 말합니다. 함수는 만들어낸 값을 return 구문으로 반환합니다. 반환된 값은 이콜( = ) 기호를 통해 변수의 값으로 다시 지정될 수 있습니다. 함수는 반복되는 코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int main(){ ... } 이 구문도 사실 함수입니다. 메인 함수, 진입점 함수라고 부릅니다.
5) 함수명 규칙

6) int main(){ ... }

- int main(){ ... } 구문은 진입점 함수입니다.이 함수는 OS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함수로서 모든 C / C++ 함수는 이 main 함수가 있어야 하고, main 함수가 최초로 실행되는 함수 입니다.
-더 알아보기
main 함수의 return 값은 0일 경우 정상 종료, 0이 아닐 경우 비정상 종료입니다. return 0; 는 정상 종료 리턴값을 나타냅니다. 이 리턴값은 OS가 받아서 처리합니다
7) 파라미터(Parameter)

- 함수는 파라미터를 받아 그 값을 처리하는 것이 기본 목표입니다. 파라미터를 이용해 값을 변조하거나 바꾸고 연산하여 리턴값을 만들어 냅니다. 파라미터는 한 개일 수도, 없을 수도, 여러 개일 수도 있습니다.
연습문제 1, 2, 3)

sol
1)

2)

3) 3번 중요! input 함수 외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