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계열의 직종의 장점으로는 재택 근무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크다.
이 재택 근무나 원격 근무가 가능하게 하는 가장 큰 tool중 하나가 git과 git과 관련된 sourcetree + github site가 아닐까 싶다.
대학교에서 생명공학의 자연과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뇌인지과학을 전공하면서 코딩을 잠시 해보았지만, 대학원 특성상 논문을 출간하기 전에는 잘 나가는 식당의 비법 소스와도 같은(?) program정보에 대한 공개를 상상할수 조차 없었기에 source code를 github와 같이 open형으로 공개하는 것은 상상조차 할수 없었다.
더군다나 슈퍼컴퓨터를 쓰는데 이건 클라우드 환경이 아닌 on-premise의 일종이었으니..
git과 github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Git이란 소스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은 소스코드 버전 사이를 오가는 시간 여행 이상의 기능을 제공한다.
Github란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둘 수 있는 Git 호스팅 사이트 중 하나이다.
사실 Github.com이외에 GitLab.com, Bitbutcket.org등의 site등도 존재를 하지만, github가 사용자가 가장 많기에 우리나라의 NAVER 포탈처럼 거의 표준 site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이 2가지 인데, 검색을 하면 하는 방법이 자세히 나와있다.
이 2 과정이 다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다음과 같은 실습을 진행한다.
CUI로 git과 github 다루기
컴퓨터에 설치한 git과 연결한 로컬 저장소를 만드는 것으로 로컬 저장소라는 것은 쉽게 얘기해 내 컴퓨터안에 저장할 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더 쉽게 얘기해 폴더를 만들어 올릴 파일을 만들어 놓는 것.
바탕화면 -> Programming 폴더 만들기 -> iTshirt-cat이라고 하는 폴더만들고 안에 README.txt 파일 만들기
iTshirt-cat이 들어가 있는 폴더 안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