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개인 프로젝트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아주 예에전에(2018년) 파이썬으로 만들었던 웹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고 싶어졌다.
하지만 파일만 남아있을 뿐 윈도우에서 맥으로 노트북을 바꾸면서 예전의 개발 환경은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았다. 그 당시엔 어떤 버전을 썼는지 조차 정리해두지 않았기 때문에 환경 세팅하는데 한세월이 걸릴게 뻔해 한번 해 볼 엄두도 나지도 않는다.
아쉬운 마음을 가지고 새 프로젝트나 시작해보자 하는데 이게 왠걸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을 해보고자 우분투 설치도 끝냈는데 이제 자바부터 또 똑같이 설치해야하는..
이럴 때 사용하라고 있는게 docker이다.
소스코드,라이브러리 등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모든 설정값(개발환경)을 이미지 파일로 만들 수 있고 이미지 파일을 실행시킨 것을 컨테이너라고 한다.
컨테이너는 어떤 os에서든 독립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사실 docker에 대해 이제 막 0부터 알아가는 단계이기 때문에 일단 설치해보자 !
설치 링크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mac-install/
맥 os에서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apple chip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docker 설치가 간단하게 끝났으니 아래의 명령어로 docker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간단하게 확인해보자
$ docker
$ docker --version
버전 확인까지 해보니 설치가 잘 된 듯 하다.
![]() | ![]() |
---|
docker desktop을 실행시키면 노트북 상단바에 돌고래가 뜨는데 도커의 실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