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률 다요인 모형
수익률 벡터 : r=Bf+s
공분산 행렬 : E(rrT)=BFBT+S
요인 계수 행렬 B, 요인 수익률 행렬 F
- 수익률 모델링에서, 요인 계수 행렬에는 위험 요인 계수만, 요인 행렬에는 위험 요인만 넣는다.
- 분리된 알파 요인은 포트폴리오 최적화 단계에서 목적 함수에 더해진다.
고유 수익률 행렬 S
- 고유 수익률은 자산 수익률에서 알파 및 위험 요인 수익률을 제외한 값이다.
🧱 위험 요인(β)과 알파 요인(α)의 구분
위험 요인(β, Risk Factor)
- 자산 기대수익률의 분산을 설명한다.
- 자산의 위험도 측정
- (e.g. 시장 수익률 등)
알파 요인(α, Alpha Factor)
- 자산 기대수익률의 평균을 설명한다.
- 자산의 구매 신호 관측
- (e.g. 종목 시가총액(∵ 소기업효과) 등)
- 그러나 과거 알파 요인이었던 시가총액은 현재 위험 요인이 되었다.
- 알파 요인이 위험 요인이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
🤷 위험 요인(β)과 알파 요인(α)의 특징
🌬️ 수익률 변동에 기여하는 정도
위험 요인(β) > 알파 요인(α)
- 수익률 모델링을 할 때, 우리가 먼저 위험 요인을 찾는 데 집중하는 이유
- 수익률 모형의 요인 계수들을 위험 요인에 중립화(neutralize)하는 이유
- 수익률의 변동이 위험 요소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 않게 하기 위함
- 알파 요인에 의한 수익률의 긍정적 변동이 극대화된다.
👀 요인이 대중에게 알려진 정도
위험 요인(β) > 알파 요인(α)
- 위험 요인은 투자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요인이다.
- 투자자들은 잘 알려진 위험 요인들로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한다.
- 즉, 위험 요인으로는 다른 투자자들에 대한 경쟁우위를 갖기 어렵다.
위험 요인은 수익률 변동성의 요인이 될 수는 있지만,
수익률의 평균을 끌어올리는 요인은 될 수 없다.
✨ 알파 요인(α)이 위험 요인(β)이 되는 과정
- 투자자들 사이에서 알파 요인이 널리 알려지며, 결국에는 위험 요인이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
💡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에 의한 설명
- 특정 요인이 현재 자산의 가격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 알파 요인의 발견
- 이상적으로는 주가가 오르기 전에 매수한다는 전략을 세울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같은 신호에 반응하여 매수세에 몰렸기 때문에, 주가는 이미 상승해 있다.
- 해당 알파 요인은 더 이상 투자의 평균 수익률을 높여주지 못한다.
- 해당 요인에 따라 주가의 수익률이 변동성을 지니게 되었으므로, 대중에게 알려진 시점부터 해당 알파 요인은 위험 요인이 되었다.
그럼 현재 시점에서 어떻게 알파 요인(α)과 위험 요인(β)을 구분할 수 있는가?
'금융공학'을 배워보자. ⟶ Term 2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