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localhost <specific_directory>] cd ~
[root@localhost ~] ls
<내 프로젝트 폴더1> <프로젝트 폴더2>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ls
bin dev hoom lib lib64 root root: sys usr var ... <기타 여러 디렉토리들>
[root@localhost /] pwd
/
cd ~ 는 home directory다.
cd /는 root directory다.
$ cd $HOME
위 링크의 핵심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리눅스에 대해 찾다보면 file based OS라는 말을 많이 보게 된다. 그렇다면 file base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지금부터는 회사 동료에게 물어본 내용+인터넷에서 찾은 내용을 정리한다. thanks to 동료!
리눅스는 모든 폴더를 파일로 바라본다. 리눅스 특정 폴더 내에 들어가 ll을 눌렀을때 나오는 dw어쩌고 저쩌고와 같은 식별자들은 해당 파일이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시사한다. 가령 이런 식이다.
잘 읽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