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d를 열어 상단과 같이 진행해주자. curl 명령어를 통해 pyenv 를 설치하는 것인데, 이러면 home/.pyenv의 위치에 pyenv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 때 pyenv -version 명령어를 실행해봐도 pyenv가 실행되지 않는데, 이는 환경 변수를
저번 시리즈에 이어, pyenv-virtualenv로 가상환경을 설치하고 activate 한 후 django를 설치해보자.상기 두 버전이 가능한 걸 알았으니 이제 3.8-dev로 pyenv virtualenv를 시작해보자.나는 보통 가상환경을 로컬 프로젝트 폴더명과 같
우선 cmd 창을 열자. 이러면 postgres 관련 쿼리를 실행할 수 있는 db 창으로 들어가지는데 모양새는 다음과 같다. postgres=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자. \l을 치면 현재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오너를 볼 수 있다. 이제
settings.py를 들어가보자.원래라면이처럼 django default database인 sqlite3로 연결되어 있겠지만, 우리는 postgresql을 쓰려고 한다.따라서로 변경한다.
이전 포스트에서 PostgreSQL 테이블을 생성하고 settings.py 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봤다.이젠 여기서 그치지 않고,
https://shanepark.tistory.com/328일단 기본적으로 해당 url을 따라가되, 한글 언어를 설치하는 방법을 더 공유하려고 한다.처음으로 카카오톡을 설치하면 다음처럼 한글이 전부 ㅁㅁㅁㅁ 로 깨지는 현상이 생긴다.https://du
가. 토큰이란? A. 유저를 식별하는 방법 1. session 2. 토큰 3. 토큰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토큰의 구조 나. fastapi에서 토큰 만들고 인증하기 A. Postman 다루기 1. Postman 설치 in Centos7 우선 포스트맨 공식 사이트로
https://www.44bits.io/ko/post/why-should-i-use-docker-container
다음은 우연찮게 맞딱뜨린 상황이다.시큐어 셸로 접속해서 작업하던 도중 -> 원격 컴퓨터를 껐다 다시 켜야하는 상황이 옴 -> cmd창을 내가 안 닫고 있으면 한 번 출력됐던 로그는 볼 수 있겠지? ->history 로 로그만 따놓고 나중에 천천히 기록해야지라고 생각했는
개발하다 겪은 오류들을 짧게 정리하는 오늘의 오류를 남기기로 했다.어째 오류를 겪을 때마다 모르는 개념이 하나씩 튀어나온다.리다이렉션 코드를 작성함 -> 서버 자동 업데이트 (by fastapi --reload 옵션) 어찌저찌 건드리다가 버그남 -> 리다이렉션 코드 부
cd ~ 는 home directory다.cd /는 root directory다.홈 디렉토리와 루트 디렉토리의 차이점위 링크의 핵심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노션과 같은 서비스는 백엔드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고 있었다. 그간 내가 만들었던(전 회사 포함) django 서비스는 전부 유저가 정해진 form에 정해진 타입의 데이터를 채워넣기만 하는 구조였기 때문이다.그래서 궁금증이 생겼다. 노션은 유저가 해당
postman 홈페이지에 들어간다.https://www.postman.com/downloads/자동으로 접속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OS 사양을 읽을텐데, 리눅스로 접속했다면 이 두 선택지가 보일 것이다.x64인지 arm64인지에 따라 맞춰 설정해주면 되는데,
인터넷을 허가하는 기능을 만들려고 한다. 이때 적절한 api format은 무엇인가?1\. /allow_internet2\. /internetAccess3\. /internet?action=allow답은 3번이다. 물론 method는 프론트-백간의 약속이니 다른 방식으
가끔 개발하다보면 네트워크 세팅을 건드려야 할 때가 있다.내부 ip 주소를 도메인에 등록해두고 도메인만 쳐서 편하게 접속하고 싶다든가,혹은 폐쇄망을 이용하는 바람에 사내 관련 시스템은 폐쇄망 내에서만 접속이 가능해서 이에 관련된 세팅이 필요할 때가 바로 그 예시다.이럴
문제점 우분투에서 이어폰을 잘 연결했다. 그런데 간헐적으로 끊긴다! 심지어 머리를 흔들거나 이어폰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달라지면 끊기기도 했다. 강의를 듣거나 노래를 듣고 있는데 계속 블루투스 소리가 출력이 되지 않으니 이를 해결하려고 방법을 찾아봤다. 해결 방법
GET 메소드에 url parameter가 아닌 body로 데이터를 넣고 받아오려고 했으나, Swagger UI에서 api execute를 눌러도 함수가 호출되지 않았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postman으로 테스트하니 422 Unprocessable Entity 에러
참고용https://refactoring.guru/design-patterns/catalog
.git 이 속한 폴더로 들어갔다.72라는 파일만 유저가 root root 으로 되어있었다.해당 파일의 쓰기, 읽기 권한을 나에게 부여해주었다.
Adapter Pattern Composite Pattern Bridge Pattern
토이 프로젝트에 착수하면서, 좋은 비즈니스 로직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최대한 논리적이고, 리팩토링을 줄일 수 있고, 아무튼 문제가 안 나는 비즈니스 로직이 존재할까?적어도 경험치가 있는 사람들은 알겠거니 싶어 개발자들 톡방에 물어봤다. 아래는 내가 얻은 답변이다.여기서
업로드중..https://medium.com/@endlichfelipe/implementing-the-observer-design-pattern-in-python-e1201e32d1f1옵저버 패턴
대규모서비스 넷플릭스 dispatch : https://github.com/Netflix/dispatch레이어드 아키텍처 적용 보일러 플레이트 : https://github.com/teamhide/fastapi-boilerplate위의 보일러 플레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