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의 Suspense 컴포넌트는 어떻게 동작할까 ?

ChoiYongHyeun·2024년 5월 12일
1

리액트

목록 보기
24/31

Suspense 컴포넌트 배우기


대부분의 내용은 리액트 공식 문서를 참고하였다.
https://react.dev/reference/react/Suspense

React Challenge 를 풀던 도중 React.lazy , Suspense 에 대한 내용이 있어

처음 보는 구성이라 공식문서를 살펴보았다.

<Suspense fallback={<Loading />}>
  <SomeComponent />
</Suspense>

Suspense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children 에 포함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준비가 안됐다면 fallback 에 할당된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고

children 에 포함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준비가 됐다면 이후엔 children 컴포넌트를 렌더링 한다.

이 때 children 에 들어갈 수 있는 컴포넌트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한다.

  • Data fetching with Suspense-enabled frameworks like Relay and Next.js
  • Lazy-loading component code with lazy
  • Reading the value of a Promise with use

children 에 들어갈 수 있는 컴포넌트는 Promise 로 감싸져있거나

thenable 한 객체로 감싸져있어야 한다.

사실 이렇게 개념만 봐서는 잘 이해가 안간다. 코드를 통해 이해해보자

사용 예시를 통해 살펴보기


lazy loading 과 함께 사용하여 번들 사이즈 줄이기


function App() {
  const [isShow, setIsShow] = useState(false);
  const handleClick = () => {
    setIsShow((prev) => !prev);
  };
  return (
    <div className='App'>
      <button onClick={handleClick}>Show the list</button>
      <hr />
      {isShow && (
        {/* 로딩중일 때는 Loading 컴포넌트 렌더링 */}
        <Suspense fallback={<Loading />}>
          <Content /> {/* 해당 컴포넌트는 lazy loading */}
        </Suspense>
      )}
    </div>
  );
}

다음과 같은 컴포넌트가 존재 할 때 정의에 따라

Suspense 컴포넌트 바운더리 내부에 존재하는 childrenContent 는 컴포넌트로 사용되었지만 사실 thenable 한 객체이다.

어떻게 컴포넌트가 thenable 한 객체인가 ?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이는 우리가 App 컴포넌트가 호출되어 렌더링 될 때 가장 상단에 존재하는 import , from .. 을 통해

미리 정적으로 컴포넌트들을 import 해오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import { Suspense, lazy, useState } from 'react';
import Loading from './components/Loading.jsx'; // 정적으로 Loading 컴포넌트 import

/**
 * 해당 함수는 네트워크 지연을 표현하기 위한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이다.
 */
const delayedPromise = (promise) => {
  return new Promise((res) =>
    setTimeout(() => {
      res(promise);
    }, 2000),
  );
};

/**
 * Content 컴포넌트는 lazy 메소드로 감싸져있는 Promise 객체이다.
 * 이는 Content 컴포넌트가 파일이 읽힐 때 import 되는 것이 아니라
 * 호출 될 대 동적으로 import 하도록 한다.
 */
const Content = lazy(() => delayedPromise(import('./components/Content.jsx')));

function App() {
  ...

import 문을 보면 차이를 볼 수 있듯

Loading 컴포넌트는 from , import .. 문을 통해 파일이 읽히는 동시에 정적으로 import 해오는 모습 을 볼 수 있다.

하지만 Content 컴포넌트는 lazy 메소드로 감싸져있어 , 해당 컴포넌트는 Content 가 호출 될 때 동적으로 import 된다.

실제 예시를 살펴보면 Content 객체가 호출 될 때 네트워크 요청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동적 import 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번들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어떤 거대한 컴포넌트가 조건부적으로 렌더링 되어

페이지에 렌더링 될지 말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조건 적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정적으로 렌더링 해오는 행위는

전체 컴포넌트의 렌더링 시간을 지연시킨다.

차라리 조건부적으로 렌더링 되는 컴포넌트는 lazy , Suspense 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import 를 함으로서

전체 렌더링 시간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을 이용 할 수 있다.

데이터를 패칭해오는 컴포넌트와 Suspense


그래 알았어, lazy 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import 해옴으로서 조건부적으로 렌더링 될 컴포넌트를 미리 import 해오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는구나 ?

그럼 Suspense 를 이용해 데이터를 패칭해오는 컴포넌트가 로딩 상태임을 보여 줄 수도 있나 ?

하는 생각이 든다.

공식 문서를 살펴보자

Suspense does not detect when data is fetched inside an Effect or event handler.

Suspense 는 내부에 존재하는 children 컴포넌트의 패칭 상태를 추적하지 않는다고 한다.

만약 패칭 상태를 추적하고 싶다면 연동이 되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라고 한다.

이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체험해보자

우선 데이터를 패칭해오기 위해 시나리오를 조금 수정해보자

시나리오 설정


const delay = (ms) => {
  return new Promise((res) =>
    setTimeout(() => {
      res(null);
    }, ms),
  );
};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setPosts] = useState([]);
  useEffect(() => {
    const fetching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userId=1',
      );
      await delay(2000); // delay 를 위한 코드
      const json = await response.json();
      setPosts(json);
    };
    fetching();
  }, []);
  return (
    <ContentView>
      <ul>
        {posts.map(({ id, title }) => (
          <li key={id}>{title}</li>
        ))}
      </ul>
    </ContentView>
  );
};

export default Content;

다음과 같이 Content 컴포넌트는 useEffect 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을 보내고

posts 의 상태가 업데이트 되면 게시글들을 렌더링 한다.

import { Suspense, useState } from 'react';
import Loading from './components/Loading.jsx';
import Content from './components/Content.jsx'; // 정적 import 로 변경

function App() {
  const [isShow, setIsShow] = useState(false);
  const handleClick = () => {
    setIsShow((prev) => !prev);
  };
  return (
    <div className='App'>
      <button onClick={handleClick}>Show the list</button>
      <hr />
      {isShow && (
        <Suspense fallback={<Loading />}>
          <Content />
        </Suspense>
      )}
    </div>
  );
}

export default App;

다음과 같이 있을 때 Suspense 바운더리에 있는 Content 의 패칭 여부에 상관 없이

Content 컴포넌트는 로딩창 없이 즉시 마운트 된다.

공식문서에서 말하는데로 Suspense 그 자체만으로는 데이터 패칭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다.

Suspense 는 도대체 어떻게 준비 여부를 파악할까 ?


그렇다면 의문이 든다.

Suspenselazy 로 감싸져있는 동적 import 같은 경우는 준비 상태 여부를 파악하고

import 가 모두 끝나면 컴포넌트를 렌더링 했다.

하지만 일반적인 useEffect 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fetching 해오는 일반적인 컴포넌트에선 준비 상태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다.

도대체 Suspense 컴포넌트는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 걸까 ?

Suspense 가 작동하는 순서를 생각해보자

/* 2. 준비되지 않았다면 준비하는 동안 fallback 컴포넌트 렌더링 */
<Suspense fallback={<Loading />}>
  /* 1. Children 컴포넌트가 준비 되었는지 확인 */
  <Content />
</Suspense>

Suspense 컴포넌트는 children 컴포넌트가 준비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

준비 되지 않았다면 비동기적으로 준비 시킨다.

이 때 비동기적으로 준비 시키는 동안 모든 렌더링 과정을 멈추는게 아니라

fallback 에 존재하는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고 비동기적으로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가 완료된 children 컴포넌트를 렌더링 한다.

그럼 의문이 든다.

children 컴포넌트가 준비 되었는지를 어떻게 확인할까 ?

그것은 바로 children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throw 하는 Promise 객체를 Suspense 컴포넌트가 캐치 하는 것이다.

Suspense 입장에서 만약 children 컴포넌트가 Promise 객체를 throw 했다면

본인을 렌더링 하기 위한 데이터가 준비 되지 않았음을 알린 것이기에 해당 Promise 객체가 settled 될 때 까지

fallback 에 할당된 컴포넌트를 렌더링 한다.

만약 throw 하는 Promise 객체나 thenable 객체가 없다면 children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suspened 시킬 이유가 없기 때문에 바로 렌더링 한다.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setPosts] = useState([]);
  useEffect(() => {
    const fetching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userId=1',
      );
      await delay(2000); // delay 를 위한 코드
      const json = await response.json();
      setPosts(json);
    };
    fetching();
  }, []);
  return (
    <ContentView>
      <ul>
        {posts.map(({ id, title }) => (
          <li key={id}>{title}</li>
        ))}
      </ul>
    </ContentView>
  );
};

export default Content;

위 예시에서 Content 컴포넌트는 Suspense 컴포넌트에게 아무런 객체도 Throw 하지 않기에

Suspense 컴포넌트는 Content 렌더링을 지연 시킬 필요 없이 바로 렌더링 해버린다.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Content 컴포넌트가 준비 될 때 까지 렌더링을 지연 시킬 수 있다.

이 또한 코드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코드 여부로 살펴보는 SuspenseAPI 호출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 suspenderMaker.read(); //  비동기 처리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함수

  return (
    <ContentView>
      <ul>
        {posts.map(({ id, title }) => (
          <li key={id}>{title}</li>
        ))}
      </ul>
    </ContentView>
  );
};

export default Content;

변경된 컴포넌트에선 예전처럼 useState , useEffect 와 같은 상태 관리 로직이 존재하지 않는다.

suspenderMaker.read 메소드를 호출하여 posts 데이터를 받아온다.

const suspenderMakerFn = () => {
  let result; // 1. 데이터를 저장할 변수
  let state = 'pending'; // 2. 패칭 상태를 저장할 변수
  const fetching = async () => {
    //  3. fetching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하는 fetch 함수
    tr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userId=1',
      );
      await delay(2000); // delay 를 위한 코드
      const json = await response.json();
      state = 'fulfilled';
      result = json;
    } catch (e) {
      state = 'error';
      result = e;
    }
  };

  return {
    // 4. 반환되는 객체는 suspenderMakerFn 에 저장된 값을 기억하는
    // 클로저 함수
    read() {
      switch (state) {
        // 5. state 값에 따라 반환하는 객체가 다르다.
        case 'pending':
          throw fetching();
        case 'error':
          throw result;
        default:
          return result;
      }
    },
  };
};

const suspenderMaker = suspenderMakerFn();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 suspenderMaker.read(); //  비동기 처리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함수
  ...

다음과 같이 suspenderMakerFn 를 살펴보면 Content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데이터를 패칭해온 것이 없다면 Suspense 에게 fetching()throw 함으로서 Promise 객체를 캐치하도록 한다.

이에 Suspense 는 캐치된 Promise 객체가 settled 되기 전까지 Content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지연시켜둔다.

이후 settled 되면 다시 해당 children 컴포넌트 (여기선 Content) 를 렌더링 한 후 마운트 시킨다.

되게 복잡해보이는데 Suspense 컴포넌트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단순히 커스텀훅을 이용하는 것처럼 쉽게 사용 할 수도 있다. react-query 에서 그런 기능을 제공한다고 하더라

Suspense 를 이용해 데이터를 패칭해오는 것의 장점


컴포넌트의 단일 책임 원칙을 지킬 수 있다.


만약 Suspense 를 사용하지 않고 로딩 상태를 구현하고 싶었다면 Content 컴포넌트를 다음처럼 구성해야 했을 것이다.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setPosts] = useState([]);
  // 로딩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상태 추가
  const [isSettled, setIsSettled] = useState(false);
  useEffect(() => {
      /*이전과 동일하여 생략 */
      setPosts(json);
      setIsSettled(true);
    };
    fetching();
  }, []);

  // ⭐ isSettled 상태 여부에 따라 조건부 렌더링
  if (!isSettled) return <Loading />;
  return (
    <ContentView>
      <ul>
        {posts.map(({ id, title }) => (
          <li key={id}>{title}</li>
        ))}
      </ul>
    </ContentView>
  );
};

export default Content;

다음처럼 컴포넌트 내부에서 Settled 여부에 따라 조건부적으로 렌더링 해야 하여

Content 컴포넌트의 역할이 불분명해진다.

<Suspense fallback={<Loading />}>
  <Content />
</Suspense>
const suspenderMaker = suspenderMakerFn();

const Content = () => {
  const posts = suspenderMaker.read();

  return (
    <ContentView>
      <ul>
        {posts.map(({ id, title }) => (
          <li key={id}>{title}</li>
        ))}
      </ul>
    </ContentView>
  );
};

하지만 다음처럼 조건부 렌더링 로직을 Suspense 컴포넌트에게 위임함으로서

단순히 Content 컴포넌트는 페칭해온 값을 이용해 렌더링 한다 라는 단일 책임 역할을 지킬 수 있다.

nesting Suspense 을 통해 로딩 상태에 따른 조건부 로직을 계층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하단 깃허브 공식 문서의 예시를 통해 계층적 조건부 로직을 살펴보자

https://react.dev/reference/react/Suspense#revealing-nested-content-as-it-loads

Suspense 는 그럼 만능일까 ?


SuspenseReact v18 에 나온 비교적 최신 버전의 기능이다.

이에 아직 지원되지 않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도 많을 뿐더러

발견되지 않은 버그들이 존재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히 기다리는 사람들도 많더라

회고


나는 개인적으로 해당 기능이 매우 마음에 든다 !

어떻게 해야 컴포넌트들을 최대한 독립적인 구조로 잘 유지 할 수 있을까 ? 에 대한 고민이 있었는데

조금은 생각이 넓어진 느낌

profile
빨리 가는 유일한 방법은 제대로 가는 것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