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차 Day2 - Git에 관하여

Git 이란 무엇인가?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이다.

깃을 처음 써봤다.
Git 설치후 사용할 폴더에서 우클릭후 Git Bash Here 로 작업을 시작했다.

git init 으로 시작한뒤 vim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이썬 파일을 만든다(전 vim을 몰라서 텍스트로 했습니다.)

그 후 git status 를 하면 현재 Untracked files 를 알수 있고 git commit 명령어로 commit 이 가능하다.

초보자 들은 git commit -m "~~~" 로 사용자하. -m은 메시지를 남기는 것이다.

커밋 이후 마지막으로 git log 를 통해 내용들을 확인해볼수 있다.

Git Branch

git branch develop 으로 develop 이라는 나뭇가지를 만수 있다.

git checkout develop 으로 develop 으로 이동
develop 안에서 작업을 수행한뒤 커밋을 해줌.

git merge develop 으로 마스터에 디벨롭을 합칠수 있다.
git branch -d develop 으로 디벨롭 브랜치를 지울수 있다.

Github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로 origin 이름을 가진 원격저장소 생성

git remote -v 로 있는 브랜치 확인

git push <remote_repo_name> <branch_name> 으로 저장가능
git branch -M main 으로 이름을 바꾼뒤 가능

git push origin main 을 하면 깃허브에 푸시됨 토큰 사용법도 있음

kdt 깃허브에서 주소를 가져옴 그후 클론을 만듦
git clone <repo_uri> <directory>

체크아웃을 통해 맞는 브랜치를 들어감

git branch week3-1/윤의현 으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듦
체크아웃 해준뒤 새로운 파일을 만들고 수정 그 후 git add, git commit 해줌

git push를 통해서 원격 저장소로 보냄

github 안에서 pull request 를 통해서 과제 제출!

Numpy의 연산

기본 연산, 슬라이싱은 어제배운 부분과 같음

Broadcasting

  • MN,M1M*N, M*1
  • MN,1NM*N, 1*N
  • M1,1NM*1, 1*N

행렬의 전치는 x = x[ : , None] 으로 x를 전치시킬수 있음

Numpy와 선형대수

대각행렬(diagonal matrix) : 대각을 지정할수 있음

np.diag(2,4) => [[2,0], [0,4]]

항등행렬(identity matrix) : 대각이 1인 행렬

np.eye(2, dtypr =int) => [[1,0],[0,1]]

트레이스(trace) : 대각의 합

np.trace()를 사용
np.eye(2, dtype=int.trace()) = > 2 나옴

행렬식(determinant) : 행렬을 대표하는 값중 하나

arr2 = [[2,3], [1,6]]
np.linalg.det(arr2) => 9.00000

역행렬: AB=BA=I를만족하는행렬B=A¹AB = BA = I 를 만족하는 행렬B = A^-¹

profile
코린이의 성장 일기..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