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정규법과 간이법)

윤효준·2025년 7월 16일
0

소프트웨어 공학

목록 보기
7/43

정규법은 기능점수 산정 방법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 규모를 측정할 때 각 기능의 복잡도를 상세하게 고려하여 정확한 기능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초기 데이터 식별의 어려움, 적용 절차의 복잡함 등으로 인하여 정규법이 아닌 간이법으로 기능 점수를 산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 간이법 산정 절차

간이법 또한 정규법과 마찬가지로 내부 논리 파일과 외부 인터페이스 파일을 고려하는 데이터 기능과 입력, 출력, 질의를 고려하는 처리 기능으로 구분하여 기능 점수를 산정한다.

📊 간이법 단계별 산정

산정 유형 및 적용 범위 산정

시스템 범위 선정은 정규법이랑 동일하다.

기능 점수 산정 범위를 표현하기 위해서 간이법에서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산출물을 이용하여 단위 프로세스를 선정한다.

데이터 기능 식별

간이법의 데이터 기능은 개발 대상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 그룹과 외부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정의한다.

처리 기능 식별

처리 기능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적 사용자 요구사항으로, 사용자에게 의미 있고 비즈니스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는 입력, 출력, 질의에 해당되는 처리 로직을 의미한다.

  • 외부 입력은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 수정, 삭제되는 경우를 단위 업무별로 카운트한다.
  • 외부 출력은 계산이나 통계, 그래프가 들어가는 보고서가 있는 경우를 단위 업무별로 카운트한다.
  • 외부 조회는 저장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일반적이고 보고서 형태가 있는 경우 단위 업무별로 카운트한다.

기능 점수 산정

간이법에서는 최종 기능 점수를 산정하기 위해 평균 가중치 값을 사용한다.

주어진 데이터 기능과 처리 기능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합계에 평균 가중치 값을 곱하여 얻은 값들의 합이 최종 기능 점수이다.

profile
작은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며, 누군가의 하루에 선물이 되는 코드를 작성해 갑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