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i
: 192.168.10.128 / C Class / 192.168.10.2 /192.168.10.2
: Network Adapter : Bridge
Windows 10
: 192.168.10.129 / C Class / 192.168.10.2 / 192.168.10.2
: Network Adapter : NAT
win10 에서 Kali로 ping 하고 Kali에서 wireshark로 분석
→ 요청은 윈도우 받는건 리눅스
192.168.10.129 192.168.10.128 ICMP 74 Echo (ping) request id=0x0001, seq=11/2816, ttl=128
192.168.10.128 192.168.10.129 ICMP 74 Echo (ping) reply id=0x0001, seq=11/2816, ttl=64
Kali에서 win10으로 ping 하고 Kali에서 wireshark로 분석
→ 요청은 리눅스 받는건 윈도우
192.168.10.128 192.168.10.129 ICMP 98 Echo (ping) request id=0x4cc3, seq=6/1536, ttl=64
192.168.10.129 192.168.10.128 ICMP 98 Echo (ping) reply id=0x4cc3, seq=6/1536, ttl=128
참고
ping -n 3 192.168.10.128
→ 3줄만 나타낸다 (win)
> ping www.google.com
> tracert www.google.com
: 중간을 알 수가 없다
VM Guest OS(win10) 에서 ping www.samadal.com
→ Host OS(win)을 거치기 때문에 이렇게 나타난다
: VM ware 가 라우터 기능을 해서 1개가 빠진 127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VM Guest OS(win10)에서 tracert www.samadal.com
: 192.168.10.2 : vmware가 라우터 역할을 한다
: 가상 머신은 라우터의 개수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Host OS(win)에서 ping www.samadal.com
: TTL : 64 -4(시스템 사이의 라우터 개수) = 60
: 1,2,3,4 가 라우터이고 5번은 목적지다.
결론
: 실제환경 (Host OS) 에서 작업하는 것이 정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