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1장

yujeongkwon·2023년 5월 3일
0

CS / Network

목록 보기
1/27

세상에나 너무 쉽게 설명해줌~ 룰루

👀 네트워크의 구조


  • 컴퓨터 네트워크 :
    • 컴퓨터 간의 연결
    • 컴퓨터를 2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
  • 인터넷 :
    •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패킷 :
    •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흘러가는 작은 데이터 조각
    •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
      ㄴ ex) 웹 브라우저
      큰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분할

🧐 왜?
: 큰 데이터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너무 많이 점유함 -> 다른 데이터(패킷)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
🙄 분할하면 수신자는 데이터 어케 받누?
: 원래대로 되돌려줘야지. 이를 패킷은 디지털 데이터이기에 패킷에 순서를 붙여줌으로써 가능.
😈 붙이는 작업 안하면? 데이터 제대로 못받지 뭐 ㅋㅋ 아래 이유 때문에
1. 패킷은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음
2. 네트워크의 지연이 있을 수 있음 -> 늦게 도착
3. 패킷이 누락될 수 있음



💌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한다.
    ㄴ 0과 1의 집합 = 디지털 데이터
  • 비트 :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0 or 1
  • 바이트 : 컴퓨터의 정보량 단위로 8bit
    ㄴ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씀.
  • 문자 코드 : 숫자와 문자의대응표
    ㄴ 대표 : 아스키
  •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 하는 과정 : 비트 정보를 전기신호로 전달 -> 네트워크에 전기신호로 전달



🕸 LAN & WAN


: 네트워크 접속 범위에 따라

  • 랜(Local Area Network, LAN)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 지리적 제한이 있음.
    • 랜 케이블로 좁은 범위를 연결
    • 빠른 속도
    • 오류 발생률 낮
    • 집,사무실,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가까운 지 역을 연결
  • 왠(Wide Area Network, WAN)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한 네트워크
    • 지리적으로 제한이 없음.
    • ISP :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
        - KT, SKT와 같은 통신사들 :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
    • LAN과 LAN 연결
    • 느린 속도
    • 오류 발생률 높
    • 집,사무실,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가까운 지역을 연결



🏡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회선(최근 광랜)을 결정하고 계약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공유기로 접속
    인터넷 공유기 : ISP와 네트워크 간 연결, 얘를 중심으로 가정에서 내부 인터넷 망(시설망)이 구성 됨.
  • 2가지 접속 방식
    • 유선 랜 방식 - 랜케이블 연결 o
    • 무선 랜 방식 - 랜케이블 연결 x



🏢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소호 기업 가정-

  • DMZ :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영역)
  •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
    1. 웹 서버 :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개
    2. DNS 서버 : 외부 사용자와 메일 송수신
    3. Mail 서버 :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 서버 접속
  • 회사의 서버 운용
    1. 온프레미스
    (=서버사내에 두기) : 서버 장비실에 랙(선반)을 설치하고 안에 서버, 라우터(현재 무선이 많음), 스위치(각 서버와 연결하여 서로 통신)를 두고 관리.
    2. 데이터 센터 :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
    3. 클라우드로 운영 :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통해 컴퓨터 서비스를 제공 -> 어디서든 ok
  •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
  • 서버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 클라이언트 : 서버에서 보내 주는 정보 서비스를 수신/요구하는 측의 컴퓨터(프로그램)
profile
인생 살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