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페이지 안의 웹페이지를 보여줄때,
광고에 주로 사용
<iframe src="html 파일 혹은 외부 링크"></iframe>
역할 분산 할 때 사용
자신이 관리할 수 없는 데이터를 관리할 때도 사용
외부링크 => 디폴트 페이지를 요청하는 것
웹사이트 구축에 필수적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태그
div로 묶으면 하나의 블럭이 된다고 생각하면 됨
<embed> 나 <object> 태그 사용
flash or ActiveX 설치가 필요했음
<audio src="오디오 소스 파일 경로" autoplay controls(화면에 제어기 보이게)>
오디오 태그 요소
autoplay : 자동재생
controls : 제어기 표시
loop : 무한루프
muted : 음소거
preload :
src :
표준 포맷 : mp3, ogg, wav
*웹 브라우저마다 지원요소 다름
<video src="비디오 소스 파일 경로" autoplay controls>
비디오 태그 요소
오디오 태그 요소와 동일 + height, width, poster
표준 포맷 : mp4, webM, ogg
*웹 브라우저마다 지원요소 다름
예측 가능, 서치 엔진이 좋아하는 웹을 만들기 위해
웹에 있는 정보를 추출할때 기준을 알려주기 위해
가치 최대화 <- 찾기가 쉬워야함 <- 서치엔진이 정확한, 좋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문서의 의미와 구조를 전달하기 위한 태그
ex) header, section, article, man, summary, mark, time 등등
*구글 서치 엔진도 Semantic 태그를 이용함
header :
nav : 하이퍼링크를 모아둔 섹션
section : 단락, 장 / 한 페이지에 여러 섹션 존재 가능
article :
aside : 요약, 노트
footer : 주로 저작권 정보
문서의 모습은 구조와 독립적이다.
CSS3를 이용
*semantic tag를 효과적으로 사용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대학 서상현교수님의 표준웹테크놀로지 수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