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예시로, qubit A의 상태에 따라 qubit B에서 NOT 게이트를 적용할지 말지 조절하는 아래와 같은 Controlled-NOT Gate(CNOT Gate)가 있다고 가정
각각의 큐비트가 서로 독립적인 경우만 가정한다면 위 게이트를 양자역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이때 각각의 큐비트를 나타내는 basis 벡터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Hilbert Space 내에 존재함.
그러나 두 큐비트의 상태를 상호작용 하는 결과로 바꿀 수 있음. 즉, 각 큐비트의 basis 벡터를 포함하는 더 큰 Hilbert Space 공간 내 basis 벡터로 나타내어 두개 이상의 큐비트가 상호작용하도록 나타낼 수 있음.
CNOT gate의 경우 아래와 같이 두 큐비트의 전체 상태를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의 단일 벡터로 표현가능하다!
따라서 Tensor product를 통해 두 힐베르트 공간 V와 W의 크기 m과 n을 곱하여 새 Hilbert Space V⊗W를 생성함. 이때, 새로운 Hilbert Space V⊗W의 크기는 mn 이다.
위 CNOT gate의 수식을 아래와 같이 표현가능함. V⊗W의 요소는 V와 W의 요소 간의 텐서곱 선형 조합으로 표현. 즉 V와 W 요소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로 표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