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H⟩: 수평 편광 상태, ∣V⟩: 수직 편광 상태를 나타내며 이를 통한 편광 측정기 PMD1, PMD2는 아래와 같다.
PMD1 : ∣H⟩ 측정시 +1, ∣V⟩ 측정시 -1을 출력한다.
PMD2 : ∣H⟩⟨H∣−∣V⟩⟨V∣
이 경우 PMD1에서 최초 측정한 결과가 PMD1 -> PMD2 -> PMD1 로 측정하였을때 측정값이 바뀌지 않음.
∣D⟩,∣A⟩를 basis로 하여 편광 측정을 하는 PMD3는 아래와 같다.
PMD3 : ∣D⟩⟨D∣−∣A⟩⟨A∣
이 경우 PMD1에서 최초 측정한 결과가 PMD1 -> PMD2 -> PMD1 로 측정하였을때 측정값이 바뀌게 됨!
즉 편광 측정을 통해, 양자 상태의 측정 결과가 PMD와 같은 특정한 측정기에 의존하며 하나의 측정 결과로 모든 정보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불확정성 원리를 시각적 및 실험으로 설명할 수 있음.
불확정성 원리와 commute 관계
commute 정의 : [P1,P2]=P1P2−P2P1
두 operator의 commute 결과값, 즉 [P1,P2]=0일 경우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며 PMD1, PMD2와 같이 측정값이 변하지 않음.
[P1,P2]!=0 일 경우, 동시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며 PMD1,PMD3와 같이 측정값이 변하게 됨.
Collapse of Quantum State(양자상태의 붕괴)
편광 상태를 점차 약하게 만들어 단일 광자(Photon) 상태로 만들면 어떻게 될까?
(양자역학적 해석) 광자의 갯수에 상관없이, 측정될 때마다 양자 상태가 붕괴하여 새로운 상태로 바뀌는 현상이 관찰됨. 예를들면, 편광상태 ∣ψ⟩=α∣H⟩+β∣V⟩ 에서 측정 시 ∣H⟩, ∣V⟩ 중 하나의 상태로 특정 확률에 따라 붕괴가 된다.
(고전 물리학) 고전 물리학은 광자를 연속적인 전자기파로 간주하며, 단일 광자의 개념을 다루지 않음. 단일 광자 수준에서는 이러한 해석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편광측정 실험을 통해 빛은 입자로 이루어짐을 확실히 알 수 있음. 단일 광자 수준에서는 양자역학이 유일하게 관찰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된다.
Quantum Bits(Qubit)
Qubit : 이진수 0과 1의 선형 조합으로 표현되는 2차원 복소 벡터 공간에서의 벡터
임의의 큐비트 ∣ψ⟩=α∣0⟩+β∣1⟩
이러한 큐비트를 측정 시 ∣ψ⟩는 0 또는 1으로 붕괴하며 그 확률은 아래와 같음.
∣α∣2+∣β∣2=1
0일 확률 : ∣α∣2
1일 확률 : ∣β∣2
그러나 한번의 측정만으로는 측정 후 양자의 상태가 계속해서 붕괴하며 변화하기 때문에 α,β 의 정확한 값을 알 수 없음. 따라서 다양한 basis 벡터에서 여러번 측정을 수행해야 하며 다수의 측정 결과를 통해 α,β의 값을 통계적으로 추정가능함.
Bloch sphere
큐비트의 상태를 구면 좌표계로 나타내는 시각화 방식
임의의 큐비트 ∣ψ⟩=α∣0⟩+β∣1⟩ 에서 α,β를 구면좌표계로 나타내기 위해 아래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ψ⟩=eiγ(cos2θ∣0⟩+eiϕsin2θ∣1⟩)
eiγ는 global phase(글로벌 위상)으로, 물리적으로 측정 불가능함. 따라서 이 값을 무시하고 ∣ψ⟩=cos2θ∣0⟩+eiϕsin2θ∣1⟩ 로 상태표현 가능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임의의 큐비트 상태를 구면 좌표계에서 mapping 할 수 있다.
Single-qubit gates
큐비트 상태 ∣0⟩,∣1⟩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0⟩=[10],∣1⟩=[01]
X gate : 고전적인 NOT 게이트와 유사하며, 입력 큐비트를 반전시키는 operator X=[0110]
일반적인 큐비트 ∣ψ⟩=α∣0⟩+β∣1⟩ 에서 X gate 동작 시, X∣ψ⟩=α∣1⟩+β∣0⟩ 가 된다.
Bloch sphere 에서의 X 게이트 : 큐비트 상태를 X축을 기준으로 180° 회전
Z 게이트 : ∣0⟩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1⟩ 상태에 음수를 곱함.
Z=[100−1]
Z∣ψ⟩=α∣0⟩−β∣1⟩
Bloch sphere에서의 Z 게이트 : Z축을 기준으로 180° 회전
Y 게이트는 아래와 같은 행렬로 정의됨
Y=[0i−i0]
Y∣ψ⟩=iβ∣0⟩−iα∣1⟩
Y 게이트는 큐비트를 복소수 i 계수를 포함한 상태로 변환하며, Bloch sphere에서 Y축을 기준으로 180° 회전
Hadamard 게이트는 아래 행렬과 같이 정의됨
H=21[111−1]
H∣ψ⟩=21((α+β)∣0⟩+(α−β)∣1⟩)
수식을 통해 확인가능한 점은, Hadamard 게이트는 큐비트를 ∣0⟩와 ∣1⟩ 상태의 균등한 중첩 상태로 변환하거나, 중첩 상태를 다시 고유 상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Hadamard 게이트의 특성 : Hadamard Gate를 두 번 적용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Single-qubit gate는 Bloch sphere 상에서 회전에 해당되는데, hadamard 게이트는 X,Y,Z축이 아닌 특정한 대각선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이 되며 두번 적용 시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특성이 있음.
H2=I
Bloch Sphere에서의 Hadamard 게이트 : Z축과 X축 사이에서 45° 대각선 축을 기준으로 180° 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