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um Computing] Week 3 : 선형대수 review-3

Yoongee Yeo·2024년 10월 15일
1

Quantum Computing

목록 보기
3/14
post-thumbnail

Week 3 : 선형대수 review-3

Identity Operator

  • 아무것도 하지 않는 오퍼레이터
  • 즉, 아이덴티티 오퍼레이터는 i, j 번째 성분을 구할 때 IijI_{ij}iIj⟨i|I|j⟩와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정리하면 결국 iIj⟨i|I|j⟩ \equiv ij⟨i|j⟩\equiv δij\delta_{ij}가 나오게 된다.

Projection Operator PiP_i

  • V|V⟩ = i=1niVi=i=1niiV\sum_{i=1}^{n} ⟨i|V|i⟩ = \sum_{i=1}^{n}|i⟩⟨i|V⟩=(i=1nii)V(\sum_{i=1}^{n}|i⟩⟨i|)|V⟩ 와 같이, 주어진 벡터 v에 대해 내적을 수행한 후 그것의 길이를 계산하고 원래의 유니팩트를 곱하여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을 projection 이라고 함.
  • 이때 Projection Operator Pi=iiP_i = |i⟩⟨i| 로 정의할 수 있다.
  • 위 식과 같이 모든 항들이 V|V⟩라는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어 이를 묶을 수 있으며, 따라서 n=2차원 벡터일때 11|1⟩⟨1|V|V⟩+ 22|2⟩⟨2|V|V⟩형태로 나타난다.
  • 결국 이러한 과정은 아이덴티티 오퍼레이터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 모든 basis 벡터에 대한 Projection operator들의 합은 Identity operator와 같으며, 이를 Completness relation 이라고 한다.

Outer product

  • 외적 예시 : VV|V⟩⟨V'|
  • 오퍼레이터는 캣 브라 형태로 구성되며, 이는 아우터 두 개의 캣과 브라를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 주어진 basis에 따라 여러 벡터를 활용해 오퍼레이터를 만들 수 있다.

행렬과 Operator의 관계

  • (Ω)ij=iΩj=iΩ(k=1nkk)j=k=1niΩkkj=k=1nΩikkj(\Omega\land)_{ij} = ⟨i|\Omega\land|j⟩ = ⟨i|\Omega(\sum_{k=1}^{n}|k⟩⟨k|)\land|j⟩ = \sum_{k=1}^{n}⟨i|\Omega|k⟩⟨k|\land|j⟩ = \sum_{k=1}^n\Omega_{ik}\land_{kj} 와 같이,
  • Completness relation을 사용하여 k=1부터 n까지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J 형태의 람다를 도출할 수 있다.
  • 이때 구조는 k=1nΩikkj\sum_{k=1}^n\Omega_{ik}\land_{kj}가 되어, 원소들이 1부터 n까지 더해지며 나타난다.
  • 결과적으로 두 개의 매트릭스의 곱은 행렬 곱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를 매트릭스처럼 다룰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Adjoint of an operator

  • 일반적으로 선형대수는 실수 필드를 다루지만,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는 필드가 복소수로 가정된다는 점이 다르다.
  • Operator의 Adjoint를 구하는 방법은 Review-2 자료 참고!
    • 우선 주어진 행렬의 행과 열을 바꾸는 Transpose 연산 이후, complex conjugation까지 수행하면 adjoint를 구할 수 있다.
    • V|V⟩Ω\Omega operator를 적용시킨 결과 -> ΩV=ΩV\Omega|V⟩=|\Omega V⟩ 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의 adjoint는 ΩV⟨\Omega V| 이다.
    • 반대로 V|V⟩의 bra 벡터 V⟨V|를 먼저 구하고, V⟨V| -> ΩV⟨\Omega V|로 만들어주는 operator를 Ω\Omega^\dagger 라고 하면, 이는 Ω\Omega의 adjoint operator라고 할 수 있다.
    • 즉, VΩ=ΩV⟨V|\Omega^\dagger = ⟨\Omega V|

Dual Space

  • 듀얼 스페이스 개념은 캣 벡터와 브라 벡터의 관계로 설명되며, 한 쪽 공간의 변화를 다른 공간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 즉, 한 공간에서의 조합이 다른 공간에서도 동일한 관계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
  • (예시) ket 형태의 basis 벡터 1,2|1⟩, |2⟩로 선형 조합되는 V|V⟩ ket 벡터가 있을 때
    V=21+32|V⟩=2|1⟩+3|2⟩로 나타난다고 가정.
    • V⟨V| bra 벡터를 구하기 위해서, V=21+32|V⟩=2|1⟩+3|2⟩의 adjoint 관계를 찾아서 대응시키는 방법이 있음.
    • 또다른 방법으로, V⟨V| bra 벡터를 구하기 위해 각각의 1,2|1⟩, |2⟩ 에 대해 adjoint 관계를 구해서 1,2⟨1|, ⟨2|로 대응시킨 후 1,2⟨1|, ⟨2|의 선형 조합으로 V⟨V|를 구할 수 있다!

Hermitian Operators

  • Hermitian operator의 정의 : 어떤 operator Ω\Omega에서, adjoint operator Ω\Omega^\dagger = Ω\Omega 일때 operator Ω\Omega를 Hermitian operator라고 한다.
  • anti-Hermitian : if Ω\Omega^\dagger = Ω-\Omega 일 경우
  • 임의의 operator Ω\Omega는 Hermitian part와 anti-Hermitian part로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 Ω\Omega = (Ω+Ω)/2+(ΩΩ)/2(\Omega+\Omega^\dagger)/2 + (\Omega-\Omega^\dagger)/2

Unitary Operator

  • Unitary operator UU 정의 : if UU=IUU^\dagger=I 일때 UU 가 unitary operator가 된다.
    • 즉, UU^\dagger = U1U^{-1}
  • 따라서 이는 크기가 1인 복소수(complex number)와 성질이 매우 유사함.
    • u=eiθu=e^{i\theta}라고 할때, uu=uu^\dagger=eiθiθ=e0=1e^{i\theta-i\theta}=e^0 = 1
  • unitary operator는 벡터의 방향은 바뀌지만 원래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는 성질을 가진다

Trace

  • Tr(Ω)=k=1nΩiiTr(\Omega) = \sum_{k=1}^n\Omega_{ii}
    • Operator의 Trace는 n차원 공간에서 정의된 operator의 합과 같다.
  • Tr(Ω)=Tr(Ω)Tr(\Omega\land) = Tr(\land\Omega) 성립. 이 성질의 증명과정은 생략..(스칼라값이기 때문에 순서에 구애받지 않음)
  • 행렬에서는, 행렬의 대각 행렬들을 모두 더하는 것이 trace가 된다.

Eigenvalue

  • linear operator Ω\Omega에서, ΩV=wV\Omega|V⟩ = w|V⟩ 를 만족할때 V|V⟩Ω\Omega의 Eigenvector, ww 값을 Ω\Omega 의 Eigenvalue라고 한다.
  • 따라서 Eigenvalue problem에서 (ΩwI)V=0(\Omega-wI)|V⟩=0 을 만족하는 ww, V|V⟩를 찾아야 함.
  • 벡터의 Eigenvalue를 구하는 과정은 행렬과 관련이 있다. 벡터 자체로는 고유값을 구할 수 없고, 주어진 행렬과 그 행렬의 고유벡터를 사용하여 고유값을 계산하게됨.
    • 고유값을 구하려면 먼저 행렬 𝐴𝐴의 특성 방정식을 구해야 하며,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λλ가 고유값이 됨.
    • det(AλI)=0det(A−λI)=0 를 만족하는 고유값 λλ를 solve!
    • 이후 구해진 고유값 λλ에 따라, (AwI)V=0(A-wI)|V⟩=0을 만족하는 V|V⟩를 찾아주면 이것이 고유벡터(Eigenvector)가 된다.
  • 인터넷에 Eigenvalue problem solve에 대한 다양한 예시 문제가 있으니 찾아서 몇개 풀어보면 좋을 듯 합니다.

(예시)

구해진 고유값으로 고유벡터 구하기

출처

profile
📚 IT 지식과 최신 기술 트렌드, 금융 관련 내용을 공유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