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um Computing] Week4 : 선형대수 review-4

Yoongee Yeo·2024년 10월 21일
1

Quantum Computing

목록 보기
4/14
post-thumbnail

Week 4 : 선형대수 review-4

Hermitian operator의 Eigenvalue

  • Hermitian operator 정의 참고
  • 임의의 Hermitian operator가 주어졌을때, Hermitian operator의 eigenvalue는 항상 실수이다.
    • if Ω=Ω\Omega = \Omega^\dagger 인 Hermitian operator Ω\Omega때, Ωw=ww\Omega|w⟩=w|w⟩라고 하자.
    • 양변에 w⟨w|를 곱하게 되면, wΩw=www⟨w|\Omega|w⟩ = w⟨w|w⟩ 이다.
    • 임의의 어떤 오퍼레이터가 주어지고 양쪽에 bra랑 ket을 곱한 것의 complex conjugation은 bra와 ket의 위치를 바꾸고 가운데 있는 오퍼레이터의 adjoint를 한 값의 계산과 같다. 이 성질을 활용
      • 즉, vΩw=wΩv⟨v|\Omega|w⟩^* = ⟨w|\Omega^\dagger|v⟩
    • wΩw=(www)⟨w|\Omega|w⟩^* = (w⟨w|w⟩)^*의 경우 wΩw=www⟨w|\Omega^\dagger|w⟩ = w^*⟨w|w⟩ 가 된다.
    • Ω\Omega가 Hermitian operator인 경우 Ω=Ω\Omega=\Omega^\dagger 이므로 (ww)ww=0(w-w^*)⟨w|w⟩=0 이 된다. 따라서 w=ww=w^*이 되므로 ww가 실수임을 증명할 수 있다.
  • Hermitian operator의 두 eigenvalue가 각각 다른 값이라면, 두 eigenvalue는 직교함.(즉 두 eigenvalue의 내적 값이 0)
    • Hermitian operator Ω\Omega 에서 Ωwi=wiwi\Omega|w_i⟩ = w_i|w_i⟩, Ωwj=wjwj\Omega|w_j⟩ = w_j|w_j⟩ 인 eigenvalue wi,wjw_i,w_j가 있다고 가정
    • Ωwi=wiwi\Omega|w_i⟩ = w_i|w_i⟩ 에서 양변에 wj⟨w_j| 곱하면 wjΩwi=wjwiwi=wiwjwi⟨w_j|\Omega|w_i⟩ = ⟨w_j|w_i|w_i⟩ = w_i⟨w_j|w_i⟩ 가 되고
    • Ωwj=wjwj\Omega|w_j⟩ = w_j|w_j⟩에서 양변에 wi⟨w_i| 곱하면 wiΩwj=wiwjwj=wjwiwj⟨w_i|\Omega|w_j⟩ = ⟨w_i|w_j|w_j⟩ = w_j⟨w_i|w_j⟩ 이다.
    • wjΩwi⟨w_j|\Omega|w_i⟩에 complex conjugation 취하면 wiwiwj=wjwiwjw_i⟨w_i|w_j⟩=w_j⟨w_i|w_j⟩
    • 따라서 (wiwj)wiwj=0(w_i-w_j)⟨w_i|w_j⟩=0 에서, 무조건 wiwj=0⟨w_i|w_j⟩=0 이므로 두 eigenvalue의 내적값은 항상 0
    • 이 성질은 Hermitian 연산자의 고유벡터들이 서로 직교기저를 형성하며, 양자역학에서 관측 가능한 물리량의 상태가 정규직교(orthonormal) 상태로 표현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 Hermitian 연산자 ΩΩ에 대해, orthonormal basis들로 구성된 기저가 최소 하나 존재한다. 이 기저에서 해당 연산자는 대각 행렬(diagonal matrix) 형태로 표현되며, 대각선 성분은 고윳값(eigenvalues)들로 채워진다.
    • Hermitian 연산자는 고유벡터를 기준으로 하면 아주 단순하게 표현가능함.
    • 이 고유벡터들로 구성된 기저에서 Hermitian 연산자를 아래와 같은 대각 행렬로 바꿀 수 있다. 이때 λ1,λ2\lambda_1,\lambda_2\cdots 등이 eigenvalue에 해당됨.
      D=(λ10000λ20000λ30000λn)D = \begin{pmatrix} \lambda_1 & 0 & 0 & \cdots & 0 \\ 0 & \lambda_2 & 0 & \cdots & 0 \\ 0 & 0 & \lambda_3 & \cdots & 0 \\ \vdots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0 & \cdots & \lambda_n \end{pmatrix}
    • 이를 통해 Hermitian operator는 고유벡터들로 이루어진 특정한 기저를 사용하면 아주 단순한 대각 행렬로 바꿀 수 있고, 복잡한 문제의 구조를 단순하게 만들어서 해결가능함.
    • 이에 대한 증명과정은 생략...

Unitary operator의 eigenvalues

  • Unitary operator 정의 참고

  • Unitary vector의 eigenvalue는 항상 절댓값이 1인 복소수이다.

    • 이는 고유벡터가 유니터리 변환을 거치더라도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양자역학에서 위상 변화(phase shift)와 관련이 있으며, 양자 시스템의 상태를 unitary operator로 표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Unitary operator의 eigenvector는, 중복이 없다는 가정하에 서로 직교(orthogonal)한다.

    • 양자역학에서, unitary operator가 시간 진화를 나타낼 때 상태 벡터들이 서로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가짐.

Basic Transformation of an Operator

  • 임의의 Operator Ω\Omega를 orthonoaml basis 1,2,3,,n|1⟩,|2⟩,|3⟩,\cdots,|n⟩에서 행렬로 표현한 것이 Θ\Theta 일때,
    Θ=(1Ω11Ω21Ωn2Ω12Ω22ΩnnΩ1nΩ2nΩn)\Theta = \begin{pmatrix} \langle 1 | \Omega | 1 \rangle & \langle 1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1 | \Omega | n \rangle \\ \langle 2 | \Omega | 1 \rangle & \langle 2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2 | \Omega | n \rangle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langle n | \Omega | 1 \rangle & \langle n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n | \Omega | n \rangle \end{pmatrix}
  • Ω\Omega를 새로운 orthonoaml basis I,II,III,,N|I⟩,|II⟩,|III⟩,\cdots,|N⟩ 로 나타내고자 할 때, 새로운 Θ\Theta'은 아래와 같이 구하여야함.
    • Θ=UΘU=iΩj\Theta'=U^\dagger\Theta U = \langle i' | \Omega | j' \rangle
    • 이때 unitary 행렬 UU는 두 orthonoaml basis간 변환을 수행하는 행렬이며,
      U=m=1nMmU = \sum_{m=1}^n |M⟩⟨m|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M|M⟩은 새로운 기저의 벡터, m⟨m|은 기존 기저의 벡터이다.
      Θ=(1Ω11Ω21Ωn2Ω12Ω22ΩnnΩ1nΩ2nΩn)\Theta' = \begin{pmatrix} \langle 1' | \Omega | 1' \rangle & \langle 1'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1' | \Omega | n' \rangle \\ \langle 2' | \Omega | 1' \rangle & \langle 2'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2' | \Omega | n' \rangle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langle n' | \Omega | 1' \rangle & \langle n' | \Omega | 2' \rangle & \cdots & \langle n' | \Omega | n' \rangle \end{pmatrix}
  • 한 기저에서 다른 기저로 바꾸려면, 유니터리 변환을 통해 새로운 기저에서의 행렬 표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질은 양자역학 등에서 상태나 연산자를 서로 다른 표현으로 바꾸는 데 자주 사용되므로 참고!

출처

profile
📚 IT 지식과 최신 기술 트렌드, 금융 관련 내용을 공유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