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um Computing] Week 5 : 선형대수 review-5

Yoongee Yeo·2024년 10월 29일
1

Quantum Computing

목록 보기
5/14
post-thumbnail

Week 5 : 선형대수 review-5

Diagonalization of Hermitian Matric

  • 만약 두 오퍼레이터 Ω\Omega \wedge가 commuting hermitian operators인 경우
    • 이때 commuting operators 의미 : Ω\Omega \wedge = \wedgeΩ\Omega 성립
    • 위 경우에 두 오퍼레이터에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eigenvectors가 존재한다는 법칙!
  • 임의의 두 오퍼레이터가 Hermitian이면서 commute 한다면, 이 두 연산자는 같은 고유벡터 집합으로 동시에 대각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증명과정은 생략)

Types of objects that can act on vectors

  • Scalar : 스칼라 값은 스칼라와 operator 모두 commute 성립
    • 이를 c-numbers 라고 부름.
  • Operator : 일반적으로 다른 operator와 commute 성립되지 않는다.(특별한 경우 제외)
    • 이를 q-numbers 라고 부름.
  • Function of q-numbers
    • 일반적인 c-number에 대한 함수는 f(x)=Σn=0anxnf(x) = \Sigma_{n=0}^\infty a_nx^n 과 같이 power series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
    • 이는 Taylor 전개에 의해 f(x)=Σn=0f(n)(a)n!(xa)nf(x) = \Sigma_{n=0}^\infty \frac{f^{(n)(a)}} {n!}(x-a)^n 으로 확장될 수 있다.
    • c-number 대신에 q-number가 들어가게 되면, f(Ω)=Σn=0anΩnf(\Omega)=\Sigma_{n=0}^\infty a_n \Omega^n 이 되고
    • 대표적인 Taylor 전개인 ex=Σn=01n!xne^x = \Sigma_{n=0}^\infty \frac{1}{n!}x^n -> eΩ=Σn=01n!Ωne^{\Omega} = \Sigma_{n=0}^\infty \frac{1}{n!}\Omega^n 으로 표현가능하다. 
    • 즉 연산자 Ω\Omega에 대해 지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양자역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된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연산자의 변화를 나타낼 때 시간 발전 연산자(time evolution operator)가 이런 형태를 가진다.
  • 이때 주의할 사항은, 위 모든 수식들은 모든 항들의 합이 정확한 값(definite limit)으로 수렴할 때만 유효하다는 점이다.

Functions of Hermitian Operators

  • Hermitian 연산자 Ω\Omega는 고유기저(eigenbasis)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연산자는 대각 행렬로 나타난다.
  • Ωm\Omega^m 과 같은 멱(제곱) 함수는 각각의 고유값 ωi\omega_i의 멱으로 대각 행렬 형태로 표현
D=[ω1000ω2000ωn]D = \begin{bmatrix} \omega_1 & 0 & \cdots & 0 \\ 0 & \omega_2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omega_n \end{bmatrix}
Ωm=Dm=[ω1m000ω2m000ωnm]\Omega^m = D^m = \begin{bmatrix} \omega_1^m & 0 & \cdots & 0 \\ 0 & \omega_2^m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omega_n^m \end{bmatrix}
  • 연산자 함수 𝑓(Ω)𝑓(Ω)도 각 고유값에 대해 멱급수 전개를 통해 표현할 수 있으며, 지수 함수 𝑒Ω𝑒^Ω의 경우 각 고유값에 대한 지수 함수로 확장된다.
f(Ω)=m=0amm!Ωm=m=0amm!Dmf(\Omega) = \sum_{m=0}^{\infty} \frac{a_m}{m!} \Omega^m = \sum_{m=0}^{\infty} \frac{a_m}{m!} D^m
f(Ω)=[m=0ω1mm!000m=0ω2mm!000m=0ωnmm!]=[eω1000eω2000eωn]f(\Omega) = \begin{bmatrix} \sum_{m=0}^{\infty} \frac{\omega_1^m}{m!} & 0 & \cdots & 0 \\ 0 & \sum_{m=0}^{\infty} \frac{\omega_2^m}{m!}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sum_{m=0}^{\infty} \frac{\omega_n^m}{m!} \end{bmatrix} = \begin{bmatrix} e^{\omega_1} & 0 & \cdots & 0 \\ 0 & e^{\omega_2}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e^{\omega_n} \end{bmatrix}
  • 그럼 Hermitian operator가 non-diagonal matrix 형태로 표현되었을때는?
    • Unitary transformation U=n=1mωnnU = \sum_{n=1}^{m} |\omega_n\rangle \langle n| 을 활용하여 diagonal matrix로 표현한 후 계산할 수 있다.
    • Hermitian 연산자 ΩΩ를 비대각 행렬 𝐻𝐻로 표현한 경우, 위 Unitary transform을 통해 𝐻𝐻를 대각화할 수 있다.
      UHU=DU^{\dagger} H U = D
      H=UDUH=UDU^{\dagger}
      H2=UDUUDU=UD2UH^2 = U D U^{\dagger} U D U^{\dagger} = U D^2 U^{\dagger}
      Hm=UDmUH^m = U D^m U^{\dagger}
    • Hermitian operator 일때 연산자 함수 𝑓(𝐻)𝑓(𝐻)는 앞서 설명한 멱급수 전개로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H)=m=0amHm=Um=0amDmUf(H) = \sum_{m=0}^{\infty} a_m H^m = U \sum_{m=0}^{\infty} a_m D^m U^{\dagger}
    • 이를 대각행렬의 함수형태로 표현하면..
      f(H)=U[f(ω1)000f(ω2)000f(ωn)]Uf(H) = U \begin{bmatrix} f(\omega_1) & 0 & \cdots & 0 \\ 0 & f(\omega_2)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f(\omega_n) \end{bmatrix} U^{\dagger}

Solution of Differential Equation

  • Differential Equation tψ(t)=iΩψ(t)\frac{\partial}{\partial t}|\psi(t)\rangle=i \Omega|\psi(t)\rangle 에서, 초기상태가 주어졌을때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ψ(t)=U(t)ψ(0)|\psi(t)\rangle = U(t) |\psi(0)\rangle
    • 이때, U(t)U(t)는 시간에 따라 상태를 변화시키는 연산자이다.
  • 위 가정을 Differential Equation에 그대로 대입하면,
    tU(t)ψ(0)=iΩU(t)ψ(0)\frac{\partial}{\partial t} U(t) |\psi(0)= i \Omega U(t) |\psi(0)\rangle
    (tU(t)iΩU(t))ψ(0)=0\left( \frac{\partial}{\partial t} U(t) - i \Omega U(t) \right) |\psi(0)\rangle = 0
  • 이는 초기상태 ψ(0)|\psi(0)\rangle에 대해 만족해야하므로
    tU(t)iΩU(t)=0\frac{\partial}{\partial t} U(t) - i \Omega U(t) = 0
  • 따라서, U(t)=eiΩtU(t) = e^{i \Omega t} 이다.
  • 이를 통해 만약 ΩΩ가 Hermitian 연산자라면, 𝑈(𝑡)=𝑒𝑖Ω𝑡𝑈(𝑡)=𝑒^{𝑖Ω𝑡} 가 유닛터리 연산자임을 증명할 수 있다. 즉 Hermitian operator Ω\Omega에서 𝑈(𝑡)=𝑒𝑖Ω𝑡𝑈(𝑡)=𝑒^{𝑖Ω𝑡}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unitary하게 보장한다는 의미를 가짐!
    • ΩΩ가 Hermitian 연산자인 경우 U(t)U(t)=IU(t)U^{\dagger}(t) = I를 만족하므로...U(t)U(t)가 Unitary operator이다.
profile
📚 IT 지식과 최신 기술 트렌드, 금융 관련 내용을 공유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