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스쿨] 얼리버드 퀘스트 09. PM은 어떻게 공부할까요?

ZZEON·2025년 7월 31일
0

아래의 추천 사이트 또는 검색을 통해 아티클 스터디를 시작합니다.

다음 내용을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합니다.

① 아티클 링크 ② 간단 요약 - 주제, 핵심정보 ③ 나의 생각

* 얼리버드 퀘스트 10개 완수 혜택을 받으시려면, 최소 700자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내용이 짧을 경우, 아티클 2개를 소개해주세요.

요즘 IT

'요즘 IT'라는 사이트는 나도 자주 들어가서 확인하는 사이트이다. 이 사이트에 들어가면 현재 어떤 것들이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프로젝트보다 '프로덕트' 중심 마인드셋이 중요한 이유

이 아티클을 선택한 이유

최근에 '프로젝트'보다 더 넓은 범위의 용어로 '프로덕트'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은데, 이 '프로덕트'라는 말이 정확하게 내포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이 아티클을 선택하게 되었다.

간단 요약

- 주제 :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치와 혜택

- 핵심 정보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한다. 과거에는 '아이언 트라이앵글'이라는 '작업 범위, 시간, 비용'에 관하여 프로젝트가 진행이 되었다. 주어진 시간 안에 일을 완료할 수 있을지, 충분한 자원(예산)이 있는지, 시간과 자원에 맞춰 작업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했다.
하지만 현대적인 제품에서는 '가치와 혜택'이 우선순위가 된다. 아이언 트라이앵글을 사용했을 때 IT 프로젝트의 실패율은 높았고, '가치'를 중점적으로 설계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제품 사고방식에 접근하는 방법

  • 이 기능 아이디어가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가?
  • 그 문제가 지금 개발 중인 제품과 실제로 연관이 있는가?
  • 더 빠르거나 더 효율적인 해결 방법은 없는가?
  •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할 가장 가치 있는 문제인가?
  • 이 문제의 해결이 현재 또는 미래 전략과 일치하는가? 만약 그러지 않다면, 전략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해야 하는가?

=> 이것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프로덕트가 나올 수 없다.

'프로젝트 매니저'와 달리 '프로덕트 매니저'는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도가 필요하고, 자신의 기술, 역량, 도구를 활용하여 본인이 처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정성적 또는 정량적 연구를 포함한 1차 연구를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UX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와 함께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가정이나 가설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문제를 독립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명확하지 않은 전략이나 불확실한 결과에 대해서는 상위 리더들이랑 논의할 수도 있어야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조율자 역할인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에 그치지 않고 이 과정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리더의 역할을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이 제품이 어떤 가치를 더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이 해결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 제품이 바꾸는 사용자의 행동은 무엇인가? 를 고민하며 새로운 기능을 생각해낸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이해 관계자들에게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까요?'라고 묻지 않고, '우리는 이걸 해야합니다.', 혹은 '다음과 같은 옵션들이 있습니다.'라고 얘기한다.

누군가가 시키기 때문에 하는 일이 아닌 본인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일을 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일에는 분명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것. 그것이 프로덕트 매니저가 가져야하는 마인드셋이다.

나의 생각

이번 아티클을 보면서, 단순히 프로젝트 매니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 주도하는 리더십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 끊임없이 사고하고 소통하면서 사람들을 이끌어나가는 진정한 리더가 되는 것이 나의 큰 목표인 것 같다.
하나의 서비스를 맡는다는 게, 누군가에겐 그냥 일일 수도 있지만 나에게는 크나큰 책임이라고 느껴진다. 그걸 어떻게 성장시키냐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애증도 생길 것이다. 나는 그런 애증을 느껴보고 싶다.

profile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PM, PO가 되고 싶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