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 : 데이터프레임의 행(columns)과 열(rows)의 label 값, 즉 행과 열의 이름으로 접근
ILOC : 데이터프레임의 index값, 즉 slicing을 할 때의 위치를 기준으로 접근
# 데이터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판다스 import
import pandas as pd
# 데이터 만들기
data = {'fruits' : ['banana', 'strawberry', 'apple'],
'dessert' : ['macaron', 'cake', 'donut'],
'beverage' : ['coffee', 'beer', 'coke'],
'food' : ['pizza', 'burger', 'pasta']}
# 위의 데이터를 dataframe 형식으로 바꾸기
data = pd.DataFrame(data)
data
fruits | dessert | beverage | food | |
---|---|---|---|---|
0 | banana | macaron | coffee | pizza |
1 | strawberry | cake | beer | burger |
2 | apple | donut | coke | pasta |
(데이터명).index = {(바꿀 index명)}
으로 바꿔주기(데이터명).loc[(행의 이름) : (행의 이름), (열의 이름) : (열의 이름)]
data.loc[0:2,'beverage':'food']
beverage | food |
---|---|
coffee | pizza |
beer | burger |
coke | pasta |
행의 이름이 '0'부터 '2'까지와 'beverage'열 부터 'food'열까지 출력되었다.
data.loc[1:2,'dessert':'beverage']
dessert | beverage |
---|---|
cake | beer |
donut | coke |
(데이터명).iloc[(행의 위치 슬라이싱), (열의 위치 슬라이싱)]
data.iloc[:, 2:]
beverage | food |
---|---|
coffee | pizza |
beer | burger |
coke | pasta |
0행 ~ 끝까지 슬라이싱, 2열부터 끝까지 슬라이싱된 값이 출력되었다.
data.iloc[1:3, 1:3]
dessert | beverage |
---|---|
cake | beer |
donut | coke |
1행부터 3행 슬라이싱, 1열부터 3열까지 슬라이싱 된 값이 출력되었다.
만약, 데이터프레임의 정보를 보고싶다면,
(데이터명).iloc[(행의 위치 슬라이싱), (열의 위치)]
data.iloc[0:, 3]
0 pizza
1 burger
2 pasta
Name: food, dtype: object
위와 같이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