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1. Overview
1.1 Data commmunication
우리는 의사소통을 할 때 정보를 교환한다.
이 교환은 face to face로 이루어지거나, 정말 멀리 떨어진 곳으로부터 이루어지기도 한다.
Tele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s
Components
데이터 통신은 5개의 요소를 가진다.
- 메시지
- 통신을 하는 정보(data)
- text,number,pic,audio 등등
- 송신자
- 메시지를 보내는 기기
- 컴퓨터, 전화, 카메라 등등
- 수신자
- 메시지를 받는 기기
- 컴퓨터, 전화, 카메라 등등
-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um)
- 송 수신자 사이 메시지가 전달되는 물리적인 선
- 케이블,,,
- 프로토콜
-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약
- 통신 기기들끼리의 약속
Data Representation
데이터는 오늘날 정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text
- numbers
- images
- audio
- video
Data Flow
통신은 3가지 방법으로 일어난다.
- simplex
- 단방향으로 통신이 된다.
- 한쪽이 주면 한쪽은 받기만
- ex) 키보드와 모니터
- half-duplex
- 각각은 전송과 수신이 된다 하지만 동시에 슉 슉은 안된다.
- 한쪽이 받으면 받기만 가능함 받으면서 못보내
- full-duplex
1.2 Networks
네트워크
Network Criteria
네트워크에서 제일 중요한 척도는 퍼포먼스, 안정성, 보안성이다.
Performance
- transit time과 response time을 포함한 시간
- transit time
- response time
- 성능은 유저, 전송매체,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성능에 따라 나뉜다.
- 2개의 척도로 측정이된다
- throughput
- delay
- 이 두 성분은 모순적이다.
- 네트워크에서 보내는 데이터 양을 늘리기위해서 우린 throughput을 늘리지만, 네트워크의 혼잡을 막기위해 delay를 늘릴것이다.
Reliability
Security
Physical structures
연결방법
네트워크는 링크를 통해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장치이다.
링크는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길이다.
통신을 위해서 기기들끼리는 무조건 링크로 연결되어 있어야한다.
두가지의 연결 방법이 있다.
Point to Point
- 노드 사이를 직접 연결한다.
- 링크는 오직 이 두 노드를 위해 사용된다.
- ex) 리모컨과 tv
Multipoint
- 하나의 연결로 여러 노드들을 연결
- channel은 공유된다
- 공간적이거나 시간적이게
- 여러 기기가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면 공간적으로
- 순차적으로 사용한다면 시간적으로
topology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한다
기본적으로 4가지의 토플로지가 있다.
fully connected, star, bus, ring
fully connected
- 노드들끼리 다 연결된다.
- point to point로
- direct한 통신이 된다.
- 노드들끼리 자신만의 링크를 사용해 traffic 문제가 없다
- 노드들끼리 자신만의 링크를 이용해 온전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 하나의 링크가 잘못되어도 전체 시스템이 망가지지 않는다.
- 이 경우 링크가 너무 많아져 비용이 증가된다.
- 많은 입출력 포트를 요구한다.
- 비용이 비싸 주로 백본망에서 주요 컴퓨터를 연결할때 사용한다.
start
bus
- 하나의 긴 케이블로 여러 노드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 설치하기 쉽다는 장접이 있다.
- 하지만 새로운 기기를 새로 연결하려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한쪽이 고장나면 이후 뒤쪽 노드들이 다 마비된다.
ring
- 각 기기는 두개의 기기와 point to point로 연결된다.
- 데이터는 링 구조를 따라서 기기에서 기기로 연결된다... 목적지에 도착할 때 까지
- 백본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된다.
- 설치, 유지보수가 쉽다.
- 각 노드는 리피터의 역할도 한다.
- 데이터를 받으면 다른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넘겨준다(포워딩)
- 링이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를 못 쓰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나 여러개의 링을 사용한다.
1.3 Network Types
네트워크는 2가지 범주로 나뉘어진다.
Lan과 Wan.
Lan은 지역적이고 Wan은 전세계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Local Area Network
- 회사, 빌딩 ,캠퍼스 같은 곳에서의 기기들의 연결이다.
- ex
- 집에서 PC와 프린터의 연결
- 회사 기기들끼리의 연결
- Lan의 host들은 각각 고유한 식별자와 주소를 가지고 있다.
- 패킷이 보내질때 송신자의 주소와 수신자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 LAn은 과거 버스구조였다
- 현재는 star 구조다
Wide Area Network
- 통신을 위한 노드들의 연결이다.
- 마을,주,도시,세계를 연결한다.
- Lan과 달리 연결 기기들이 서로 연결된다.
- Lan은 호스트끼리 연결되었다.
- 연결기기 -> 스위치,라우터,모뎀..
- Point to Point로 연결된다.
- 연결기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Lan에서 다른 Lan에 통신을 하고 싶으면,라우터를 통해 포워딩 되어 wan을 거쳐 다른 Lan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Switching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
- 라우터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 스위치는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연결한다.
Switch network
The Internet
인터넷
Internet은 1000개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
Accessing the Internet
- 인터넷에 연결을 원하면 ISP에 연결을 해야한다.
- internet service providers
- 물리적 연결은 Wan의 point to point 연결을 통해 진행된다.
1.4 Internet History
1.5 Standards and Administration
1.6 Protocol Layering
프로토콜
- 송 수신자, 중간 기기가 통신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해 따라야하는 규칙
- 통신이 단순하면 간단한 프로토콜을 쓰면 된다.
- 통신이 복잡하면??
protocol layering principle
2개의 규칙이 있다
- 만약 양방향 통신을 원한다면, 각 레이어는 각 방향에서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작업(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양 쪽에서 각 레이어별 결과는 동일해야한다.
Logical connections
1.7 TCP/IP Protocol suite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어플리케이션
OSI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