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의사소통을 할 때 정보를 교환한다.이 교환은 face to face로 이루어지거나, 정말 멀리 떨어진 곳으로부터 이루어지기도 한다.Telecommunication거리가 있는 의사소통Data communications전송 미디어를 통한 두 기기의 데이터 교환데이터
물리계층에서 주요한 기능은 전자기적 신호의 데이터를 통신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사람이 사용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지 못한다(아날로그니),데이터는 전자기적 신호로 변환이 되어야한다.신호에 데이터를 올려 정보를 교환한다.물리 계층에서 A와
신호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디지털데이터 -> 디지털 신호디지털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같이..디지털 신호에서 데이터 소스(디지털 or 아날로그)는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된다.인코딩된 신호는 기술에 따라 다르며, 전송매체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선택이 된다.아날
디지털 데이터를 bandpass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이라고 한다.low pass 아날로그 신호를 band pass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전통적으로 아날로그-대-아날로그 변환이라고 한다.이 장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변환에 대
전송 매체는 물리 계층 아래에 위치하며, 물리 계층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그림 은 물리 계층과 관련된 전송 매체의 위치를 보여준다.전송 매체는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데이터 통신에서, 전송 매체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필요한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물리적 계층 위에 논리 계층이 추가된다.이 논리를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또는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이라고 한다.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간의 전송 매체를 데이터
일반적으로 두 통신 스테이션은 데이터 링크의 전체 용량을 활용하지 않는다.효율성을 위해, 그 용량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공유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멀티플렉싱이다.그림은 멀티플렉싱 기능을 가장 간단한 형태로 보여준다.멀티플렉서에는 n개의 입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