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 10진수서 2진수로 항상 변화해주는데 (js엔진이) 소수같은 경우는 무한소수가 2진법으로 변경할때 무한 소수가 된다고 한다(이유는 모름..) 해결 : 따라서 .toFixed() 메서드를 쓰거나..(요건 변수화 시켜서 사용해야 함 계산식에는 못쓰더라.. 파라미터
맨날 callback func 이 잘 알고 있다 생각해도 헷갈려서 다시 한번 정리쉽게 말하면 첫번째 출처 블로그 처럼1\. 다른 함수에 파라미터로 정의된 함수2\. 다른 이벤트에 의해 연이어 호출되는 함수인데 좀더 근본적이고 쉽게 말하자면두번째 출처에 나온 것 처럼 "
배열에선 for문 보다 for .. of를 사용한다
기본형 타입에서 기본형 타입에선 복사한 데이터 변경할 때, 원본에 대한 변경이 없다 원시값은 값을 복사할 때, 복사된 값을 다른 메모리에 할당하기 때문에 원래의 값과 복사된 값이 서 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얕은 복사 원본을 참조하도록 복사 하는 것 참조
형태2.언제 함수를 생성하는지?형태선언문 : 문이다. {} 중괄호가 있는 문장, 문. JS에서 일반적으로 함수를 선언하는 방식.표현식 : 식이다. 등호가 있는 변수에 할당하는 식. 2.언제 함수를 생성하는지?선언문 : 어디서든 다 호출 가능. JS 동작 원리 때문인데,
java로 코딩을 시작하고 js로 넘어간 나같은 사람은 this에서 엄청난 혼란을 겪는다. java는 기억으론 this가 인스턴스의 멤버로 사용되고 생성자에 있을땐 전역으로 사용된다 정도로 알고 있으면 되었지만 js는 함수 개념으로서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임.js의 th
console.log(abc); abc는 함수 범위밖에선 실행이 안됨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 값 abc에 접근하기 위해서 익명함수를 만들고 return abc를 해주면 let ddd; 가 받아주고 (let ddd를 클로저라 할수 있음)다시 ddd를 return
js에서 this는 변동이 심해서 상당히 까다로운데(아래 node서 this 참조), 그래서 this를 고정시키는 방법 이 binding이다. 즉 바인드 거는 함수에게 "함수야! 앞으로 this를 사용할땐 파라미터로 내가 넣어주는 객체를 사용해!" 라고 명령 하는 함수
글참조 : https://velog.io/@ggong/%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ED%8A%B8%EC%97%90%EC%84%9C-%EC%8B%B1%EA%B8%80%ED%86%A4-%ED%8C%A8%ED%8
Sort함수는 거두절미하고 쉽게만 말하면 파라미터 (next, prev) 이렇게 next,prev 요소를 활용해서 return값이 양수이면 그대로 두고, 음수이면 요소 위치를 바꾼다. 그래서 return 값을 양수이면 위치이동이 없으므로(정렬 된거라고 볼수 있으니
위에 데이터가 있다. 크롬에 일단 찍은 이유는 data 배열의 key value가 에디터로 찍으면 사라져서 그런데, 위 사진 보면 아래 빨간 박스에 배열 데이터 key(=index) 0,1,2,3, value {...} 형태로 나와있다. 그래서 위 데이터를 참곻패서 f
코어자바스크립트 책을 보다 p135 코드 8행에Array.prototype.slice.call(originalPartialArgs, 1); 부분에 작동원리 이해가 잘 안됐다. 그래서 찾아보고 기록을 한다.우선 binding의 의미를 잘 이해해야 하는데binding은 메
앞서 for ... in vs for ... of에 대한 비교글을 적은 적이 있다.이번에 알고리즘 공부하면서 for .. in 사용시에 배열을 for in에 사용하고 key 즉 idx를 뽑아야겠다 라고 생각했는데 그 와중 당연히 idx가 number 인 줄 알았는데 알
공리1 반환 값 0 : b가 a보다 앞에 있어야 한다. 코드로 풀면 즉 공리 1을 활용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