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0

network

목록 보기
12/39

네트워크 계층 소개


1. 네트워크 계층이란?

  • 정의: 네트워크 계층은 OSI 7계층 모델의 3계층으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 주요 역할:
    1. IP 주소 제공: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각 호스트에 고유의 주소를 할당.
    2. 라우팅: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전달될 수 있도록 경로를 결정.

2. 네트워크 계층이 필요한 이유

2.1.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한계
  • 한계 1: 경로 탐색 어려움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같은 LAN 내에서만 통신 가능.
    •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 경로를 결정할 수 없음.
  • 한계 2: MAC 주소의 한계

    • MAC 주소는 고유 식별자이지만 네트워크 간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움.
    •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선 위치를 나타내는 IP 주소 필요.

3.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기능

3.1. IP 주소 체계
  • 역할: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 MAC 주소와 달리, IP 주소는 논리적 주소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
    • MAC 주소 vs IP 주소:
      • MAC 주소: 고정,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에 할당.
      • IP 주소: 유동적,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할당.
3.2. 라우팅
  • 정의: 라우팅은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다른 네트워크에 전달되도록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 라우터: 네트워크 계층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장비.
  • 라우팅 프로토콜:
    • 경로를 탐색하고 최적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규칙 및 알고리즘.
    • 예: OSPF, RIP, BGP 등.

4. MAC 주소와 IP 주소 비교

항목MAC 주소IP 주소
역할NIC를 식별하는 물리 주소네트워크 내 호스트의 논리 주소
유형고정 (제조 시 할당)유동적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경)
주소 범위LAN 내에서 사용전 세계 네트워크에서 사용
주소 형식48비트 (16진수)IPv4: 32비트, IPv6: 128비트
변경 가능 여부변경 불가수동 또는 자동 변경 가능

5. IP 주소와 라우팅의 관계

  • IP 주소는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라우팅은 이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할 최적 경로를 결정합니다.
  • 택배의 예:
    • 수신지: IP 주소 (목적지 네트워크).
    • 수신인: MAC 주소 (네트워크 내 호스트).
    • 택배가 배달될 때, 먼저 수신지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수신인 정보를 이용해 전달.

6. 향후 학습 내용

  • IP 주소 할당:
    • 정적 할당: 사용자가 직접 설정.
    • 동적 할당: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통해 자동 할당.
  • 라우팅 프로토콜:
    • 내부 네트워크: OSPF, RIP.
    • 외부 네트워크: BGP.
  • 라우터:
    • 라우팅을 수행하는 핵심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계층은 네트워크 간 통신의 핵심입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IP 주소 체계 및 할당 방식에 대해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