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생활코딩 영상을 보며 공부한 기록입니다.아래의 링크에서 node.js를 다운로드 후 인스톨node.jscmd 실행node -v 버전확인node 실행장ctrl + c 두번 누르면 나가기node.js를 공부할 폴더를 생성해주고, cmd창에서 해당 폴더의 경로로
사용자가 Web Browser에 주소를 입력하여 Web Server에 요청을 보내면 Web Server가 응답을 해주는데, 원래는 Apache가 Web Server의 역할을 하지만 Node.js도 Web Server로 사용이 가능하다.cmd 실행 후, 소스코드가 있는
protocol : 통신규칙,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접속할 것인지를 정한다.host(domain) :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port : 서버가 명시한 포트 번호로 접속path : 컴퓨터 안 파일의 위치 query String : 해당 정보를
정보를 다루는 핵심적인 처리방법이다.Create / Read / Update / Delete파일을 node.js에서 읽을 수 있는 방법과 이 후, 생성과 수정 삭제를 node.js에서 할 수 있는 방법 해당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이다.공식문서 참조node.js공식 문서의
node/readdir.js 파일 생성아래의 코드 작성$node node/readdir.js를 실행.data 폴더에 새 파일을 생성하면 자동으로 추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HTML이 계속 중복되기 때문에,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수로 정의해준다.이 후, 기존의 html 부분을 지우고 아래의 함수를 넣어준다.또, list부분이 중복되기 때문에,이렇게 함수를 정의해서 고쳐주고 해당 코드가 있던 부분을 고쳐준다.
프로그램이 꺼져도 다시 실행시켜주고코드가 변경되면 변경된 코드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실행된다.\-g 로 설치하면 독립된 소프트웨어로 설치가 되어 컴퓨터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다.현재 실행중인 pm2 파일을 보는 명령어 파일의 변경을 감지해서 자동실행시키는 명령어오류로그를
form 태그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submit 버튼을 누르면 액션 속성으로 지정된 서버로 쿼리 스트링 형태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단, 전송할 때 GET방식으로 하면 좋지 않음. 눈에 보이지 않도록 전송하기 위해 Post방식으로 전송한다.post 방
문서를 참조하여해당 코드를 작성해줬다.위 코드를 실행하면 추가한 파일이 생성된다.데이터 추가 후, 다시 리다이렉션 된다.
글을 수정(update)할때는 특정 글을 선택해야만 나오고 전체 페이지에서는 나오지 않아야 한다.따로 빼서 관리할 수 있도록 control을 만들어 주고추가해준다. home에서는 update 버튼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따로 만들어주지 않았다. update를 하기
특정한 글을 선택하면 delete 버튼이 활성화되고 delete를 누르면 데이터 파일이 지워져야한다.update랑은 다르게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해야하기 때문에 링크로 달면 안된다.delete를 form의 hidden을 사용해서 만들어준다.
코드가 늘어나면 코드를 정리정돈 해줘야한다.객체가 늘어나면 객체를 정리정돈해줘야하는데 이것을 해결해주는 것이 모듈이다.파일을 밖에수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후, 다른 파일에서이렇게 활용해주면 된다.해당 코드를 밖으로 빼주고 main.js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가 있는 페이지를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들어온다면 안되기 때문에, 보안상 유출되면 안 되는 정보는 경로를 막아야한다.XSS 자바스크립트 공격이 들어오면, 내부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인식 -> 해당 소스를 출력한다.그렇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막아줘야한다.1\. 해당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