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소수 구하기(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구하기에서 가장 중요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하고 문제를 푼다.

2025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그리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은 현재 상태에서 볼 수 있는 선택지 중에 최선의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동적 계획법보다 구현하기 쉽고 시간 복잡도가 우수하다. 하지만 항상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2025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너비 우선 탐색 (BFS) 문제 풀이

너비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first search)은 그래프를 완전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시작 노드에서 출발해 시작 노드를 기준을 가까운 노드를 먼저 방문하면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2025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

깊이 우선 탐색(DFS) 문제 풀이

깊이 우선 탐색은 그래프 완전 탐색 기법 중 하나이다.그래프의 시작 노드에서 출발하여 탐색할 한쪽 분기를 정하여 최대 깊이까지 탐색을 마친 후 다른 쪽 분기로 이동하여 다시 탐색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2025년 1월 6일
·
0개의 댓글
·

스레드가 특정 이벤트를 기다리게 하는 방법 (std::condition_variable / std::future)

C++에서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한 스레드가 특정 이벤트나, 특정 조건이 true가 될 때까지 기다리길 원하는 상황이 흔하게 발생한다.그런 상황을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2024년 12월 30일
·
0개의 댓글
·

std::lock_guard / std::unique_lock / std::shared_lock

C++ 표준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락 관리 객체(std::lock_guard / std::unique_lock / std::shared_lock)에 대해 살펴보고 언제 무엇을 써야 하는지 학습한다.

2024년 12월 30일
·
0개의 댓글
·

공유 자원 관리 : mutex

멀티 스레드에서 공유 자원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학습하고 그 중 뮤텍스를 배운다.

2024년 12월 30일
·
0개의 댓글
·

스레드 관리

C++에서 표준 thread 라이브러리의 사용법을 소개한다.

2024년 12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수의 분류

수의 분류 정리

2024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좋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잡자

소프트웨어 구조의 필요성과 장단점을 알아본다.

2024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노프스모 3주차 분할정복 행렬

https://github.com/psb9812/AlgorithmSolve/tree/main/AlgorithmSolve/AlgorithmSolve/%EB%B6%84%ED%95%A0%20%EC%A0%95%EB%B3%B5\_%ED%96%89%EB%A0%AC

2024년 6월 17일
·
0개의 댓글
·

노프스모 2주차 문제 풀이

링크가 너무 길어서 여기에 올립니다.

2024년 6월 15일
·
0개의 댓글
·

가변 길이 템플릿

가변 길이 템플릿은 템플릿 인자의 수를 가변적으로 받아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이다.

2024년 6월 15일
·
0개의 댓글
·

[네트워크] 도메인을 ip로 바꾸기

도메인을 ip로 바꿀 때 어떤 함수를 썼고 어떤 방식으로 코드를 짰는지 헷갈려서 정리를 했습니다.

2024년 5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네트워크] backlog queue의 최대치와 그만큼 넣어보기

최근에는 네트워크 소켓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니 백로그 큐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이 부분에 대해 기록하고자 합니다. 소켓 프로그래밍 지식이 어느정도 있어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백로그 큐(backlog queue) backlog

2024년 5월 15일
·
0개의 댓글
·

[네트워크] TCP 프로토콜의 ACK와 SEQ의 의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패킷의 손실이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TCP는 ACK(Acknowle

2023년 7월 3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삽입 정렬

삽입 정렬은 특수한 경우에 매우 빠르게 동작하는 정렬 알고리즘 입니다.우선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정렬이 된 영역과 정렬이 되지 않은 영역을 나눠서 정렬이 되지 않은 영역에서 정렬이 된 영역으로 하나씩 이동 시킨다.i가 1에서 시작하는데 이는 맨 앞의 인덱스 0을

2023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선택정렬

선택 정렬은 버블 정렬보다 쉬운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역시 쉬운 만큼 성능이 별로다.

2023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버블 정렬

버블 정렬에 대해 공부한 것을 정리했습니다.

2023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자료구조] 우선순위 큐와 힙

우선순위 큐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큐와 관련이 있는 자료구조이다. 하지만 둘은 큰 차이가 있다.

2023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